
이들은 친환경무상급식 정책은 지난 4년 동안 전국 초·중·고 단위 73%의 높은 실현율을 기록했지만, 정작 평생 자기의 기본적인 몸을 만드는 시기인 영·유아기 친환경급식 의무 시행은 보장되고 있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들은 ▲영·유아 친환경급식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 GMO, 수산물과 방사성 물질의 문제, 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되고 있는 화학적합성첨가물의 문제 등 영·유아 급식의 안전한 식재료 품질기준을 세우는 단초를 마련 ▲친환경급식을 자발적 시행하고 있는 영·유아기관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토론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