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통시장' 지원 정책 앞으로 어떻게 되나?

중소기업청·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전통시장 포럼 구성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사장 이일규)은 전통시장 지원정책 방향 설정을 위해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할 전통시장 포럼을 구성·운영하기로 하고 19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회의실에서 발족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전통시장 포럼은 전통시장 현황 점검, 국내외 정책환경 및 지원정책의 성공·실패 요인 분석 등을 통하여 정책 개선방안과 함께 실현 가능한 신규사업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포럼에는 유통·마케팅·문화·관광·디자인·ICT·도시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대기업 담당자, 시장 상인 등 40여 명이 참여했다.


시장별 특성화 전략과제를 논의하는 '특성화분과', 마케팅 및 교육사업 개편방향을 논의하게 될 '교육·마케팅분과', 시설현대화 사업 개편방안 및 전통시장 관련 규제 완화 등을 논의할 '시설·제도분과', 대형마트·SSM 등과 전통시장 상생 및 대기업 역량 활용 전통시장 특성화 방안 등을 논의할 '상생협력분과', 전통시장과 ICT접목, 청년상인 및 청년고객 유치 전략을 논의할 '미래청년분과' 등 5개 분과로 운영된다. 


올해 전통시장 포럼은 6월 중 발족식과 분과별 미션을 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오는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분야별 전문가들의 관련 현황 분석·토론을 거쳐 각 과제별 정책방향을 설정한다. 


또한 개선사항 및 신규사업을 발굴하여 오는 9월 말, 포럼에 참여한 전문가 전체와 상인대표가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분과별 도출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종합하여 각 분과별 분과장, 상인대표 등이 참여하는 총괄분과를 운영하여 최종 결과물을 연말에 도출하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포럼운영을 통해 도출된 내용들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기본계획으로 오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시행으로 반영·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향후에도 전통시장 포럼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정책환경 변화에 맞는 기존사업 개선 및 신규사업 발굴하는 등 명실공히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