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로 중증 심근경색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기술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심혈관센터 김효수 이명묵 교수팀은 중증 심근경색증 환자 26명에게 ‘백혈구 증식인자(G-CSF)’를 주사한 뒤 말초혈액에서 줄기세포를 채집해 이 줄기세포를 심근경색 환자의 관동맥에 투여한 결과 모든 환자의 상태가 호전됐다고 밝혔다.
특히 치료 6개월이 지나 심혈관조영술 등의 검사를 실시한 7명의 경우 심장수축 기능이 크게 좋아졌으며 괴사 심금부위의 미세혈류가 정상 수준으로 개선됨으로써 조깅이나 빠른 수영도 가능했다고 의료진은 덧붙였다.
이에 따라 그동안 회복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중증 심근경색증 혼자에게 이 치료기술이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치료법의 핵심은 G-CSF를 체내에 주입, 골수에 소량 들어있는 줄기세포를 말초혈액에 모은 뒤 이곳에서 다량의 줄기세포를 손쉽게 채취함으로써 줄기세포 채취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 한 데 있다.
또 채취한 줄기세포를 직접 심근에 주입하지 않고 관동맥에 넣음으로써 부정맥, 출혈, 심장천공 등의 위험을 최소화 한 것도 큰 의미가 있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김효수 교수는 “이번 치료법은 가슴 절개나 골수채취 등 수술적 줄기세포 이식법의 단점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미국과 유럽에서도 이제 막 시험적적 치료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부작용과 효능에 대한 검증이 끝난 약물을 투여했기 때문에 안전하면ㅅ도 효과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식할 수 있다”며 “특히 국산 의약품의 효능을 확인한 것도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개발진이 사용한 G-CSF는 동아제약이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만든 제품이 사용됐다.
G-CSF는 인체에서 소량 분비되는 백혈구 생성 촉진 단백질로 백혈병이나 빈혈 등의 질병이나 골수 이식, 화학요법 등의 치료에 의한 백혈구 부족시에 투여된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독맥이 막혀 피를 공급받지 못한 심장근육이 죽어 들어가는 불치병으로 최근 환자가 급증하면서 한국인 주요 사망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질병이다.
김병조 기자/bjkim@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