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삼 월동후 관리가 병해충 방제에 최고

충남도농업기술원은 25일 2월 말부터 3월 초에 인삼 병해충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월동후 고죽(지난해 고사한 줄기)제거’를 철저히 하도록 인삼농가에 당부했다.

인삼의 고죽은 병원균이 침입해 잠복하는 곳이다. 특히 잿빛곰팡이병은 인삼에서 연간 8.8%~18.2% 발생한다. 이 병은 가을에 잎과 줄기를 통해 침입해 월동기에 노두를 부패시키고 월동 후에는 고죽을 통해 번식해 뿌리로 이병하는데 심하면 30%이상 수량을 감소시키는 병이지만 고죽을 제거하면 2%이하로 병 발생률을 감소시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죽에는 줄기에 발생하는 줄기반점병균, 잎에 발생하는 점무늬병균, 식물전체에 발생하는 탄저병균등이 감염돼 있다. 이 중 줄기반점병은 봄에 어린 싹이 나올 때 바람이 불며 비가 오면 싹이 고죽과 부딪혀서 어린 싹 줄기에 상처가 나고 이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감염돼 병이 발생한다. 따라서 월동후 싹이 나기 전에 반드시 고죽을 제거해 병원균의 월동 처를 없애고 어린 싹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면 줄기반점병을 줄일 수 있다. 

농업기술원 금산약초시험장 김선익연구사는 “고품질의 안정적인 인삼생산을 위해 고죽을 제거하는 등 월동후 관리를 철저히 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