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밥 대신 빵?···쌀 소비 감소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70kg 밑돌아···하루 두 공기도 안먹는 셈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작년한해 69.8kg으로 전년 71.2kg 대비 1.4kg 감소했다.

 

혼자 사는 1인가구가 늘고 대체식품과 즉석가공식품의 다양화로 식생활이 간편해짐에 따라 가구부문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세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2양곡년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9.8으로 전년도 71.2에 비해 2% 감소했다.

 

 

200678.8kg으로 1인당 쌀 소비량이 80kg에 못 미치게 된 이후 6년만에 69.8kg 최저치이다.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평균 191.3g으로 전년보다 3.7g(1.9%) 감소했다. 밥 한그릇에 쌀이 약 130g 정도 들어간다고 계산하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하루에 두 공기도 안먹는 셈이다.

 

농가의 경우 연간 1인당 쌀 소비량은 111.2kg으로 전년대비 4.1kg 감소했고 비농가는 67.0kg으로 전년대비 1.3kg 감소했다.

 

 

특히 쌀 소비가 감소한 주요 원인은 주정제조업에 있다. 사업체부문 연간 쌀 소비량은 역시 57만712톤으로 전년 64만5927톤 대비 7만5215톤 감소했다. 이는 떡류제조업 쌀 소비량이 증가 했지만, 주정제조업의 쌀 소비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쌀을 가장 많이 사용한 주정제조업체의 쌀 소비량이 9만5930톤 감소해 떡류제조업의 쌀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 소비량은 감소한 것이다.
 

이는 전년에는 정부가 싼 가격에 구곡을 주정업체들에 배정했으나 금년도에는 정부의 미곡 배정량이 감소해 쌀보다 저렴한 타피오카 등을 원료로 주정을 생산한 것에 기인한다.

 

반면 명절이 포함된 월과 4월은 전월대비 쌀 소비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름 휴가철인 8월에는 가장 낮은 쌀 소비량이 지수를 나타냈다.

 

용도별 연간 1인당 양곡 소비량은 주·부식용 75.0kg, ·과자용 1.1kg, 장류용 0.6kg, 기타음식용 0.4kg으로 장류용만 전년대비 증가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