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돼지고기 유통마진 너무 높다···피해는 소비자의 몫

5대 농.축산품 소비액의 35% 유통비용으로 조사돼

박근혜 대통령당선인 유통구조 개선 강조

 

돼지고기 값이 내렸다는 말을 듣고 가까운 마트를 찾은 주부 이모씨는 가격표를 보고 뒤돌아섰다.  값이 내렸다지만 소비자가 구매하는 가격은 그전과 차이가 없었다. 

 

비싼돼지고기의 값이 비밀이 밝혀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이 29일 발표한 '농업전망 2013'에 따르면 쌀과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등 5대 농ㆍ축산 품목의 2011년 국내 총 소비액 34조6,100억원 가운데 35.8%(12조4,100억원)가 유통비용으로 조사됐다.

 

이명박 정부의 정책적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유통구조 개선을 강조했지만 해마다 증가하는 유통업자의 마진은 쉽게 고쳐지지 않고 있다.

 

국내 농. 축산물 품목별로는 쌀 전체 소비액 10조1,600억원 중 2조1,600억원(21.3%), 소고기는 10조5,500억원 중 4조4,500억원(42.2%), 돼지고기는 7조3,000억원 중 2조8,000억원(38.9%)이 각각 유통비용으로 집계됐다. 닭고기는 전체 소비액 4조4,000억원 중 2조3,000억원(52.1%)이, 계란은 2조2,000억원 중 7,000억원(32.3%)이 유통비용으로 들어갔다.

 

농촌경제연구원이 1990년부터 2010년까지 20년 동안 월별 가격자료(실질가격 기준)를 분석한 결과,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도매가격이 1% 하락할 때마다 유통비용은 오히려 0.56%, 0.38%씩 증가해왔으며 생산지 가격이 떨어졌는데도 최종 소비자 가격은 유지또는 상승해 그 차액이 고스란히 유통업자 몫으로 돌아갔다는 얘기다.

 

같은 기간중 닭고기 생산지 가격이 연평균 0.5% 하락할 때 소비자 가격은 오히려 1.6% 증가해 유통비용이 연평균 4.7%씩 확대됐다. 쌀은 2011년 총 소비액 중 유통비용 비중이 21.3%로 10년 전인 2000년(17.4%)보다 약 4%포인트 증가했고, 계란도 2000년대 들어 생산지 가격이 소폭 상승(연평균 1.8%)한 반면 소비자 가격 상승률은 3.7%에 달해 유통비용이 매년 9.6%씩 급증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유통비용이 갈수록 확대되는 현상에 대해 "유통업자들이 생산지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 가격을 더 높이 올리고, 가격이 떨어질 때는 소비자 가격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기 때문이다"며 "생산지 협동조합 중심의 유통망 구축 등을 통해 농ㆍ축산 농가의 마켓파워를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