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추석을 앞두고 각 지자체가 지역 농산물과 특산품을 활용한 선물세트를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고물가 속에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 동시에 지역 농가 판로 확대와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이라는 상생 정책적 의미를 담은 것이다. 사과·배·포도 등 제철 과일부터 김부각·멸치·미역 같은 농수산물, 가공식품과 지역 굿즈까지 다양한 세트가 마련되며, 명절 밥상에 ‘착한 소비’ 흐름과 ‘지역경제 살리기’ 메시지를 함께 담아내고 있다. '착착착' 경기도 추석 기획 선물세트 2종 경기도(도지사 김동연)와 경기도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도 공동 브랜드 경기 착착착은 추석을 맞아 기획 선물세트 2종 쌀 선물세트와 간식 선물세트를 온라인몰과 네이버 해피빈을 통해 판매 개시했다. 쌀 선물세트는 37% 할인된 20,900원(소비자가 33,000원)에, 간식 선물세트는 36% 할인된 29,900원(소비자가 47,300원)에 판매하며, 2종 선물세트 모두 경기도내 사회적가치 생산품 기업이 제작한 제품들로 구성됐다. 쌀 선물세트는 중증장애인생산품 기업의 잡곡과 강황쌀, 클로렐라쌀, 홍국쌀까지 총 4종이고, 간식 선물세트는 노인일자리 전담기관기업 및 여성기
[푸드투데이 = 황인선.조성윤.홍성욱 기자]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전세계를 흔들었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로 삶의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다. 이제는 필수품이 된 마스크. 올 초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마스크를 찾는 수요가 폭증, 공급 대란으로 마스크 품절 현상이 잇따랐다. 마스크 대란이 잊혀질 무렵 또 다시 찾아온 독감 백신의 안전성 논란. 지난 10월 16일 독감 백신을 맞은 청소년이 숨진 사실이 밝혀진 후 전국에서 고령층을 중심으로 비슷한 사례가 속출했다. 코로나19로 독감백신의 중요성이 그 어느 해보다 부각됐던 2020년, 전세계에서 백신 안전성 논란이 거셌다. 일상을 바꾼 코로나19는 농식품 업계의 명암도 극명하게 갈라놨다.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가정간편식(HMR)과 밀키트 시장은 급성장했고 마트를 이용하기 보다는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면서 이커머스 시장은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반면 외식 및 급식 시장은 어느 해보다 힘든 한 해를 보내야했다. 외식.급식 시장의 축소는 농가들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코로나19로 힘든 농가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까지 덮쳐 설상가상 위기에 처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