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 이하 해수부)는 4일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수산물은 어획 후 위판장, 도매시장 등 복잡한 유통단계를 거쳐 높은 유통비용이 발생하고, 신선도 유지도 어려워 근본적인 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 가운데 해수부는 기후, 소비환경 변화 속에서 현 제도만으로는 구조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유통혁신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책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이익을 누리는 신뢰 기반의 유통체계 구축이라는 비전 아래 유통비용률 10% 절감, 주요 수산물 가격 변동성 25% 완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4대 추진방향과 8대 추진과제를 담았으며, 6단계로 이루어진 유통경로는 기계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산지거점유통센터(FPC)와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를 확충, 연계를 강화하여 4단계로 간소화된 유통경로도 활성화한다. 노후화된 산지 위판장은 저온, 친환경 시설로 현대화하여 수산물 품질과 위생을 유지하고, 바닷가 인근이라는 지리적 요건을 활용해 카페·레스토랑 등 복합공간으로 조성하여 투자 수요를 창출하며, 온라인 도매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 이하 해수부)는 25일 대전 KW 컨벤션센터에서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업, 수요처 및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수산부산물 자원순환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2년 수산부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수산부산물을 활용한 보도블록, 인공어초, 모래 대체재, 사료,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도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수산물의 포획·채취·가공·판매 등의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한 물질(껍질, 뼈 등)인 수산부산물 재활용 산업은 산업 형성 초창기로 제품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교류, 관련 정보 등이 부족해 법적 기반 마련, 창업지원 사업 등에도 불구하고 업계의 판로 개척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해수부는 수산부산물 재활용 업계의 판로 개척을 지원하기 위해 수산부산물 재활용 제품 공급자와 수요자가 교류할 수 있는 논의의 장으로 마련된 이번 간담회에는 Re;Shell, Re;Start 부제로 수산부산물 재활용 업체 약 30개사가 참석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처는 희망하는 수산부산물 제품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공급자와 수요자가 개별 상담할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이제는 우리가 먹는 수산물이 어디서, 누가 잡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어야 합니다.” 30일 부산에서 열린 제10차 ‘Our Ocean Conference(OOC 2025)’ 부대행사에서 세계 각국의 시민사회단체와 정부 관계자들이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근절을 위한 수산물 이력 추적 강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행사에 참여한 환경운동연합, Oceana, EU IUU 연합 등은 각국 정부가 수산물 투명성과 추적성 강화를 위한 정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환경운동연합 김솔 활동가는 “한국에서 유통되는 수산물 중 이력 추적이 가능한 비율은 6.46%에 불과하며, 그나마도 어획 시점이 아닌 위판 시점부터 추적이 가능하다”며 제도 개선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그는 “참조기와 굴 등 소수 어종에만 이력제가 의무화된 현실을 넘어서야 하며, 수산물의 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발표된 ‘주요국 수산물 수입 통제 체계’ 보고서에 따르면, EU와 한국은 모두 어획 기록 시스템을 운영 중이지만 어획 위치, 어선 정보, 어업 장비 등의 주요 데이터가 이력에서 제외되고 있다는 점이 한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국회의원(전남 여수시 갑)은 7일 국가 차원에서 어업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 어업‧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필수수산자재 지원에 관한 법률(필수수산자재 지원법)'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국제정세 불안으로 인해 수산자재와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어업 경영비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어가의 평균 부채는 6650여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3% 증가하며 199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연간 어업 경영비도 2022년 5704만 원에서 2023년 6247만 원으로 8.7% 증가하는 등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어업 관련 자재 및 장비 구입을 제한적으로 지원하는 조례를 시행하고 있지만, 열악한 재정 여건으로 인해 지원이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지원 정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현장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주철현 의원이 발의한 '필수수산자재 지원법' 제정안에 따르면, 어업인의 수산물 생산에 없어서는 안 되는 ▴수산업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