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윤석열 정부 시절 ‘농망법’ 발언과 민생 농정법안 거부권 건의로 논란을 빚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이재명 정부에서 유임되면서, 여야 정치권과 농민단체의 반발이 격화되고 있다. 여당은 실질적인 정책 변화와 현장 중심의 농정을 요구하고, 야당은 송 장관이 전·현 정부 사이에서 입장을 번복하고 있다며 정책 일관성 부재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송 장관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며 사퇴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농망법을 희망법으로 만들겠다”는 입장 전환을 밝혔지만, 쟁점 법안 처리와 현장 신뢰 회복은 여전히 갈등의 중심에 놓여 있다.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 전체회의에서는 송 장관 유임 문제와 농정 전환에 대한 정치권의 날 선 질의가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간사는 “윤석열 정부 시기 주요 농정법안에 제동을 건 송 장관의 유임은 대통령의 통합 인사 기조를 존중하는 신호”라고 평가하면서도 “이제는 장관이 직접 입법과 농업단체와의 소통에 나서야 할 시기”라고 주문했다. 특히 민주당은 양곡관리법, 농안법, 농어업재해보험법 등 이른바 ‘농업민생 4법’에 대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제21대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한 4일, 전국 22개 농축산인 단체를 대표하는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는 대통령 취임 직후 농업계 공식 성명서를 발표하고, 새 정부의 식량주권 강화와 민생 회복 농정 실현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날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성명서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농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현장 농민의 민생을 직접 챙기는 ‘국민 속의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거듭된 정치 혼란과 경기침체로 국민의 삶은 물론, 농업인 민생까지도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농업인의 위기는 곧 먹거리 위기, 국가의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연합회는 특히 대통령 선거 기간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강조한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약속을 상기시키며, 이에 걸맞은 가시적 조치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승호 회장은 성명을 통해 “농림수산식품 예산의 국가예산 대비 비중을 최대 5%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공약은 반드시 이행돼 하며, 이를 위한 2차 농업예산 추경 편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한 “농업계와의 적극적 소통과 함께 여야 협치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