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점주에게 묻습니다. 무엇을 바꾸면 좋겠습니까.”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지난 12~13일 언론 간담회를 통해 최근 제기된 위생·운영 논란과 관련해 “현장과의 소통 부족, 구조적 문제들이 드러난 것”이라며 “회사의 전면적인 변화와 점주 상생을 통해 제2의 창업 각오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300억 원 규모의 상생안을 마련하고 브랜드별 맞춤 지원에 나서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그러나 가맹점주들의 반응은 달랐다. 실질적인 구제책은 커녕 본사 직원조차 상생안의 내용을 모르고 있다는 증언이 현장에서 나왔다. “300억 지원금? 본사 직원도 몰라…점주는 생존 벼랑 끝” 2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제5간담회의실. 더본코리아 연돈볼카츠·빽보이피자 가맹점주들은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위원장 민병덕)와 함께 정책 제안식을 열고 생존권 보장을 촉구했다. 최규호 연돈볼카츠 가맹점주협의회 공동회장은 “300억 원 지원안을 어떻게 시행할지 물었지만 본사 직원들은 ‘아직 특별한 계획은 없다’, ‘윗선만 알고 있다’고 말했다”며 “점주들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질지조차 모른다”고 증언했다. 그는 “본사에서는 언론용 협약식만 반복하고
[푸드투데이 = 황인선.노태영 기자] “적자가 뻔한데도 출점은 허가됐습니다. 계약 후 본사의 설명은 없었고, 책임은 점주에게 전가됐습니다.” 백종원 브랜드로 알려진 더본코리아의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이 22일 국회에 모여 실질적인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며 정책 제안을 발표했다. 이날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5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정책 제안식은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잘사니즘위원회’,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위원장 민병덕) 공동 주최로 진행됐다. “본사, 예상 매출 설명도 없이 출점 승인…책임은 점주 몫” 연돈볼카츠 가맹점주협의회 정윤기 공동회장은 “예상 매출액 산정서상으로도 월 매출 800만~900만 원에 불과해 적자가 예상되는 곳에도 출점을 허용했다”며 “이러한 상황에도 본사는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상매출액 설명 의무화’, ‘적자 예상 시 출점 제한’, ‘수익 구조의 투명화’ 등을 주요 제안사항으로 담아 가맹점주의 실질적 협상권 보장을 요구했다. 빽보이피자 가맹점주 김주리 씨는 “인근 출점 방지 약속을 구두로만 받고 계약했으나, 계약서에는 반영되지 않았고 결국 인근에 신규 점포가 출점돼 배달 권역을 침범당했다”며 “구두 약속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