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건강식·보양식 트렌드 확산과 개 식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로 염소고기 소비가 빠르게 늘고 있다. 그러나 수요 증가는 국내 생산이 아닌 수입 확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산업 전반의 통계 인프라·품질관리 체계 부재가 구조적 문제로 지적된다. 2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최근 발표한 '염소산업 동향 분석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염소고기 수입량은 2015년 1,570톤에서 2024년 8,143톤으로 5.2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염소고기 자급률(정육 기준)은 2019년 77.3%에서 2023년 37.7%로 하락했다. 2023년 기준 염소 사육 농가는 1만263호로 주요 축종 중 한우 다음으로 많지만, 농가 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농장당 사육두수는 41.3마리로 늘었으며, 전북(71.7마리)과 전남(70.4마리)이 대규모 사육지로 꼽혔다. 가축시장 2→22개소 급증…도축장 경유율 63.3% 염소 가축시장은 2023년 전국 2개소에서 2025년 22개소로 급증했다. 2024년 낙찰 마릿수는 2만5,621마리, 평균 낙찰 단가는 18,288원/kg으로 조사됐다. 도축 기반도 확충되는 추세다. 2025년 4월 기준 전국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여름철 복달임 음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염소 고기의 영양적 가치와 함께 가정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염소탕 레시피를 12일 소개했다. 우리나라 전통 의학서 동의보감에는 염소 고기가 체력 보강, 피로 해소, 소화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기록이 있고, 염소 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칼슘과 철분이 많아 뼈 건강과 혈액 생성에 도움이 되고, 몸에 활력을 주는 비타민 이(E)와 비(B)가 들어 있어 여름철 기력 회복 음식으로 제격이다. 염소 고기는 쇠고기처럼 등심, 목심 등 10개 부위로 나뉘며, 붉은색을 띄고, 고기 조직이 부드럽고 질기지 않아 탕, 수육, 불고기 등으로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고,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기기에 좋다. 염소탕 레시피로는 염소 고기는 조리 전 잡내를 줄이기 위해 찬물에 담가 핏물을 빼고, 된장, 맛술, 월계수 잎을 넣어 끓이고, 고기가 익으면 손으로 먹기 좋게 찢고, 육수는 거름망으로 걸러 맑게 해둔다. 고사리, 배추 등 채소를 넣어 다시 끓이고, 소금으로 간을 한 다음 들깻가루를 넣으면 영양과 맛을 모두 살린 염소탕이 완성된다. 농촌진흥청은 염소 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