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태국에서 건강, 환경,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물성 식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트렌드의 확산과 함께 식물성 단백질을 선택하는 소비자층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식량안보 이슈 등과 맞물려 태국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전 세계 식물성 식품 시장은 연평균 약 10.5% 성장 중이며, 태국 시장 역시 2019년 280억 바트(약 1조 2천억 원)에서 2024년 450억 바트(1조 9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약 10% 수준으로, 이는 글로벌 평균에 필적한다. 태국 무역정책전략사무국(TPSO)과 크룽타이 컴패스(Krungthai COMPASS) 등 현지 산업 연구기관은 식물성 식품이 국내외 수출 산업의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며, 정부 차원의 저비용·고영양 식물성 식품 개발과 유통망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태국에서는 식물성 식품이 더 이상 채식주의자만의 식단이 아닌 일상 식사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다. 육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프랑스인의 육류 소비가 줄고 식물성 식품 소비는 늘고 있는 가운데, 세대별로 다른 식습관이 국내 식품업계의 유럽 진출 전략에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 파리지사에 따르면, 프랑스인의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84.9kg(2022년 기준)으로 세계 평균의 두 배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육류 섭취는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과일과 채소의 소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인의 하루 평균 과일·채소 섭취량은 321g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400g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현지 조사기관 인터펠(Interfel)의 설문에 따르면, 프랑스 소비자의 84%가 과일과 채소를 더 많이 섭취하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식물성 식품시장에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식품시장 전문 조사기관 민텔(Mintel)의 자료에 따르면, 프랑스 내 세대별 식습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Z세대(1997~2004년생)는 전통적인 식사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즐길 수 있는 스낵형 제품을 선호한다. 하루 세 번 이상 간식을 섭취하는 비율이 17%로, X세대(4%)나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대상의 건강식품 전문 브랜드 대상웰라이프의 단백질 고함량 균형단백질 ‘마이밀 뉴Nu프로틴’이 오는 26일 오전 6시부터 7시 25분까지 NS홈쇼핑에서 고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마이밀 뉴Nu프로틴’은 50년 이상 축적된 대상의 식품 연구 노하우와 건강식품 브랜드 대상웰라이프의 기술력으로 만든 단백질 고함량 균형단백질로 30대 이후부터 나이가 들수록 근섬유가 위축되고, 근육의 기능도 떨어져 꾸준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한 중장년층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고려해 부족한 단백질을 쉽게 섭취해 근육량을 챙길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특히 ‘마이밀 뉴Nu프로틴’은 현재 홈쇼핑을 통해 유통 되는 상품 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으로 1일 1회 2포 복용으로 하루 20g의 단백질을 섭취해, 간편하게 일일 단백질 섭취 권장량을 채울 수 있고 담백하고 깔끔한 우유맛이 느껴지는 ‘플레인’과 고소하고 쌉싸름한 풍미가 일품인 ‘호지차’ 맛으로 나누어져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틱파우치 형태로 패키징 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다. 섭취 방법은 성인 기준 1일 1회 2포를 물에 잘 풀어 섭취하면 된다. ‘마이밀 뉴Nu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콩.아몬드 등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한 '식물성 우유'가 최근 중국 음료시장에서 블루칩으로 부상하고 있다. 식물성 우유는 소의 원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우유와 달리 콩.아몬드 등을 원료로 사용해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한 음료로 우유 내의 유당을 장에서 분해하지 못하는 유당불내증을 갖고 있거나 채식을 위해 동물성 식재료 섭취를 기피하는 소비자들에게 기존 우유의 대체식품으로 알려져 최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콩을 갈아 만들어 ‘중국 전통식 두유’로 불리는 전통음료 ‘도우장(豆浆)’을 공장에서 대량생산한 제품들이 대중화되면서 현재 중국에서 팔리는 음료 5잔 중 1잔이 식물성 우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최근 중국 식물성 우유 시장에서 두유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중국보다 이른 시기에 두유 산업이 발전한 한국.미국.유럽 등 두유 관련 제품의 중국 시장 진출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KATI 등에 따르면 식물성 우유는 2007년 이후 중국 음료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파악한 2016년 중국 식물성 우유 산업 시장규모는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