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전국 농업용 저수지 수질 오염과 시설 노후화로 국민 밥상이 죽은 물의 위협을 받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의원(제주시 갑)이 한국농어촌공사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농업용 저수지 수질 오염 상태와 시설 노후화가 국민 안전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 6,815개 저수지 중 1,616개소(23.7%)가 5~6등급을 받으며 이른바 ‘죽은 물’로 판정됐다. 5등급의 물은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 6등급은 물고기도 살기 어려운 폐수에 가까운 물로 국가 곡창지대 상당수가 이미 식수원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경북이 55.4% (887개 중 491개소)로 가장 많이 5~6등급을 받았으며, 전남(29.1%), 전북(28.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저수지 시설까지 심각하게 노후화된 것으로 밝혀지며 구조적 문제점이 드러났다.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전국 저수지 3,727개소 가운데 3,030개소(88%)가 준공 후 30년 이상 되었으며, 이 중 2,632개소(76.8%)는 50년 이상 경과했다. 절반 이상은 안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물포럼(회장 한정애 국회의원)은 지난 18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통합물관리 향상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통합물관리를 위한 현행법과 제도를 점검하고, 각계 전문가의 종합 토의를 통한 기후변화 등 위기극복을 위한 통합물관리 제도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토론회(좌장 유철상 고려대학교 교수, 한국수자원학회 회장)에서는 김승 WMO 아시아지역협의회 수문자문관이 ‘현 국가 물관리위원회 제도의 한계 및 개선방안’을 발표했고, 이어서 최경숙 경북대학교 교수가 ‘농업용 저수지 활용 개선방안’을, 김익재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통합물관리 정책의 한계와 향후 고찰’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승 WMO 아시아지역협의회 수문자문관은 “국가물관리위원회는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국가물관리기본계획과 유역물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고는 있으나 계획 수립이나 이행을 위한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며 “국가물관리위원회의 심의·의결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최경숙 경북대학교 교수는 “전국에 산재한 농업용 저수지를 식량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공급용으로 제한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