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최근 국회에서 GMO 완전표시제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시민사회가 “조건 없는 즉각 시행”을 촉구하고 나섰다. ‘GMO반대전국행동’을 비롯한 농민·시민·환경단체들은 19일 성명을 통해 “오는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 제2소위원회에서 논의되는 GMO 완전표시제 법안을 환영한다”며 “이번 논의는 20년 넘게 이어져 온 국민의 숙원을 담은 시대적 요구”라고 강조했다. GMO 완전표시제는 식품 제조 과정에서 GMO 원료를 사용하면 최종 제품에 DNA나 단백질 잔존 여부와 관계없이 GMO 표기를 의무화하는 제도다. 단체들은 “국민의 알 권리와 먹거리 선택권 보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식품첨가물이나 원산지 표시처럼 원료 기반의 명확한 표기 체계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단체들은 18일 한국식품산업협회가 발표한 ‘GMO 완전표시제 확대 반대’ 성명을 강하게 비판했다. 성명은 “국민 요구를 외면한 시대착오적 입장”이라며 “국내 식품업계가 EU 수출 때는 GMO 완전표시제를 지키면서 정작 자국민에게는 외면하고 있다. 이는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또한 성명은 법안 논의 과정에서 ‘유전자변형 DNA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의원과 오제세 의원은 4일 ‘중증아토피 피부염 국가지원’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는 보통의 아토피가 아닌 ‘중증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을 주제로 한다. 정춘숙 의원은 작년 5월 ‘성인 중증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으며 10월 국정감사에서는 중증아토피로 고통받고 계신 분들을 참고인으로 모셔서 그분들의 목소리가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해 정부 관계자와 보건복지위원들 뿐 아니라 언론을 통해 많은 국민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작년의 토론회가 중증아토피의 심각성을 알리는 토론회였다면, 오늘 토론회는 이분들의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국가가 어떤 지원을 할지 논의하는 토론회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안지영 국립중앙의료원 피부과 교수가 한국갤럽과 공동으로 성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제발표할 예정이다. 조사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은 치료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이 비용은 증상이 심해질수록 증가하고, ▲중증환자의 경우 많은 치료실패를 경험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의료기관을 떠돌아다니는 ‘치료난민’의 양상을 보이는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전국 17개 시도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시설에 3259개소의 모유수유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지만 위생 및 안전 관리에 관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미비해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모유수유시설의 위생과 안전 등의 운영·관리 실태를 점검해 안전한 모유수유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전북 전주시 갑)은 24일 보건복지부 장관이 모유수유시설의 위생 및 안전 관리를 위해 모유수유시설의 운영·관리 등에 관한 실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모유수유실 위생·안전관리 강화법’(모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영유아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모유수유시설의 설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모유수유를 권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조사·홍보·교육 등을 적극 추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설치·운영되고 있는 모유수유시설이 이용자의 건강 및 공중위생에 해가 없도록 적절히 관리되고 있는지 그 운영 실태를 점검하기 위한 규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실시한 ‘2018년 전국 모유수유실 실태조사’에서 전국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