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동의보감 '약초와 약차' 제조법 소개

순천대 박종철 교수 '한방약초·약차' 발행

약용식물 및 한약 전문 연구자뿐 아니라 한방차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한방약초·약차>(푸른행복 출판사)를 국립순천대 박종철(58) 한약자원학과 교수가 펴냈다. 

박 교수는 김치 전문가로 순천대 김치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10여권의 김치 책자를 펴내기도 했다.

박 교수는 이 책에서 <동의보감>에 수록된 무병장수를 위한 약재와 약용식물 32종의 약효를 자세히 설명했다. 이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약차의 제조법을 담았다. 

게다가 <동의보감>에 기록된 약이 되는 나무와 풀 424종의 효능을 사진과 함께 소개하고, 약이 되는 물과 흙도 함께 수록해 한약도감 구실도 기대된다.

특히 양귀비가 너무나 좋아해서 당 태종을 졸라 2000㎞나 떨어진 남쪽지방에서 릴레이식으로 말을 타고 가져다 먹었다는 ‘여지’의 효능, 생김새가 대추와 비슷하며 신경안정 효과가 있는 산조인의 구별법 등은 독자들에게 유용한 지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카레의 원료가 되는 강황과 울금의 약재 이름을 우리나라와 일본이 서로 반대로 부르고 있어 혼란을 일으킨다는 내용과 이들 약재를 비교한 사진 등 전문가에게 귀한 자료도 적지 않다.

북한 해금강에서 촬영한 해당화도 눈길을 끈다. 외국에서는 해당화 꽃을 약용으로 쓰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뿌리를 당뇨병의 치료제로 쓴다. 이 같은 해당화의 효능과 약차 제조법도 소개하고 있다. 

박 교수는 “일반인들이 혼동하기 쉬운 약재 정보와 과학적인 효능을 올바르게 제공하고 싶다. 한방차에 관심 있는 독자들의 건강 지침서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