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롯데제과 "2018년 7조5천억원 매출 목표"

김상후 롯데제과 대표이사 사장은 17일 "2018년까지 국내에서 3조원, 해외에서 40억달러(4조500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양평동 본사에서 열린 체험식 과자박물관 `스위트 팩토리' 개관 기념 행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10%를 차지해 해외 매출이 더 많은 제과회사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롯데제과는 일본 롯데와 함께 러시아와 중국, 대만, 인도 등 10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아이스크림을 제외하고도 규모가 400억달러에 이르는 이 시장에서 지난해 3억달러 정도의 매출을 냈다.

국내 제과시장에서는 점유율 40%가량을 차지하며 연간 매출 1조4000억∼1조5000억여원을 기록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2018년까지 국내외 매출을 대대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주력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고 해외 기업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현지화 전략을 구사하기로 했다.

우선 인기가 높은 브랜드 제품 5가지를 `5대 메가브랜드 상품'으로 선정해 각 제품이 국내외에서 10억달러 이상씩 팔리는 제품이 되도록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해외 사업의 40% 정도는 직접 생산법인을 차려 진행하고 60%가량은 현지 업체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롯데제과는 중국 칭다오와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 제과공장이나 판매 지주회사를 두고 있고 러시아 모스크바에서도 올해 7월이면 생산공장을 가동한다.

김 사장은 "해외 사업에서 성공하려면 현지인에 입맛에 맞는 제품을 만드는 게 기본"이라며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것도 현지화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 공략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인수합병도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 상반기에 파키스탄에 있는 회사를 사들이기 위해 답사를 벌이고 있으며 롯데제과에서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제과업체만 당장 5∼6곳을 꼽을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롯데마트 등 그룹 계열사들이 해외에 동반 진출하면서 제과업도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그룹 차원에서 인수 대상으로 살피고 있는 업체만 2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김 사장은 중국 시장과 관련해 "과자 시장만 15조원이 넘는데 아직 1000억원도 못 팔고 있다"며 "경쟁사로서 현지 사업을 잘 하고 있는 오리온을 벤치마킹하면서도 현지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시간을 두고 사업 규모를 끌어올려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인수한 기린에 대해서는 "지난해 매출이 600억원이었지만 올해는 1000억원까지 높일 것"이라며 "흐트러진 조직을 재건하는 데 주력하면서 전체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제빵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