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위해식품 수입업자 형량 하한제 추진

김성순의원 등 식품위생법개정안 공동발의


광우병과 AI 등 질병에 걸린 위해식품을 수입하는 업자에 대한 형량 하한제가 적용되고 식품 수입업을 신고제에서 등록제로 전환하는 내용의 식품위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발의됐다. 이는 수입식품에에 대한 안전관리를 대폭강화하는 법안이다.

김성순 의원(통합민주당, 송파병)과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비례대표) 등 의원 17명은 21일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하는 식품위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발의했다.

개정안은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위해식품을 수입.판매하는 영업자에 대해 형량 하한제를 적용 처벌강화 ▲수입신고 과정에서의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수입신고를 대행하는 자 자격기준 신설 ▲식품제조.가공업 및 수입업에 대한 사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신고제에서 등록제로 전환하는 등 현행법의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히 소해면상뇌증(광우병), 탄저병, 가금 인플루엔자, 마황, 부자, 천오, 초오, 백부자, 섬수(두꺼비) 및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질병에 걸린 동물 또는 원료성분을 사용해 판매의 목적으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조.가공.수입 또는 조리한 자에 대해서는 1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하고, 제조.가공.수입.조리된 식품을 판매한 때는 그 소매가격의 2배 이상 5배 이하에 상당하는 벌금을 병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표발의자인 김성순 의원은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는 제2의 국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국제 식품 교역 확대로 식품 수입물량 및 수입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국민건강을 저해하는 값싸고 질이 낮은 식품은 물론, 일부 수입판매업자들이 이윤 극대화를 위해 현지 유통.판매상과 결탁해 인체 유해물질이 들어있는 부정.불량식품을 수입하는 등 위법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이에 반해 위생 취약국가에서의 위해식품 수입 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역량이 미흡하며, 특히 식품의 제조.가공 및 수입하는 영업자에 대한 관리가 신고제로 운영되고 있어 체계적인 사전관리에 어려움이 적잖은 실정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해 국민건강을 지키기 위한 법개정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