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연중 발생 국가로 둘러싸여 있는 점을 고려할 때 AI 방역대책을 겨울철 특별방역에서 연중 상시방역으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 수의대 김재홍 교수는 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관에서 AI를 주제로 열린 제53회 한림원탁토론회에서 "올해 봄철 AI 발생 예에서 보듯 우리나라도 연중 발생 위험성이 상존해 있는 게 현실"이라며 이같이 제안했다.
김 교수는 또 "상시방역체제 전환을 위한 조기 검색체계 및 초기대응체계 확립 등 각종 방역제도와 대책의 대폭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그러나 "H5N1의 고병원성은 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고병원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올해 고병원성 AI를 일으킨 바이러스(유전자형 2.3.2)는 기록으로 볼 때 현재로선 인체감염 사례가 없는 게 확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고병원 AI 발생에 대해 육용 오리와 토종닭에서 발생한 뒤 소규모 중간판매상인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했으나 감염 경로를 적극 차단한 후 현재는 통제단계로 접어든 것 같다"며 "초여름 높은 기온을 감안할 때 환경에 일부 바이러스가 오염돼 남아있어도 조기에 사멸될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AI의 발생시 조기근절에 실패해 토착화된다며 어떤 방향으로 변이돼 변화를 일으킬 지 짐작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는 조기검색에 의한 조기근절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방역대책 개선 방안으로 ▲고병원성 AI 상시방역체계 및 위험요인 조기 검색체계 구축 ▲방역조직 일원화 및 진단기능의 지방 방역기관 분산 ▲닭 및 오리 도축장 검사제도 공영화 등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인체 감염 위험성이 있는 AI 바이러스 유행 국가에서도 정상적 유통체계를 거친 닭고기나 오리고기, 계란 등을 먹고 감염된 사례는 없다"며 "지나친 우려로 소비를 기피해 국내 가금산업 및 관련 산업이 위축 또는 붕괴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