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식품정보원이 주관한 식품소재 첨가물 가공식품 세미나와 한국유기농업협회가 주최하고 월드전람이 주관하는 국제 유기가공식품 세미나가 각각 지난 15일, 16일에 열렸다. 웰빙열풍으로 식품소재 첨가물과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는데 각 분야 토론자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여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
올 6천억 시장 2~3년내 1조원 전망
인증·제도 규격화로 경쟁력 제고를
97년이후 연 35%이상 성장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건강하게 오래 살고자 하는 욕구, 웰빙 의식이 생성되면서 세계 식품 시장의 화두는 단연 유기농으로 흘러가고 있다”
제 3회 친환경유기농박람회 기념 국제 유기가공식품 세미나에서 풀무원 유기농전략구매 배경근 팀장은 이같이 밝히고 유기농식품 시장의 성장에 따라 유기농식품과 일반식품과의 가격차이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6일 열린 국제 유기가공식품 세미나에는 풀무원 배경근 팀장 외에 일본 SEQ추진기구 도쿠에 미치아키 대표, 한국유기농업협회 정진영 회장, 주한 미국 농업 무역관 수잔 필립스 부관장 등이 발표를 했다.
배경근 팀장은 한국의 친환경농산물이 97년부터 연평균 35% 이상 성장했으며, 작년 전체 농산물의 2%인 36만 6000톤 정도가 친환경농산물이었다고 말했다. 역시 시장 규모도 지난해 4000억원에 이어 올해는 6000억원, 2~3년 후엔 1조원 이상(2010년까지 10%로 확대 예상)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의 경우 2003년 기준으로 약 100~110억 달러 정도의 유기농 소매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미국 역시 1980년 1억7800만 달러의 유기농식품의 판매액에서 1995년에는 28억달러까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기농 경지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호주 역시 2003년 기준으로 7500만에서 1억 달러까지 형성돼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아프리카의 경우 아직 유기농 요구 생산기준에 부합되고, 거의 인증되지 못한 상태에서 수출되고 있는 형편이다. 최근 이웃나라 중국까지 동북 3성 지역을 중심으로 유기 재배면적이 113만 ha 이상으로 확대되고 있어 세계인의 공통 관심사는 유기농을 쏠려 있다.
그러나 배경근 팀장은 “한국의 경우 현행 국내 식품위생관리체계는 원료는 농림부가, 가공품은 식약청이 구분관리, 하고 모든 수입식품(농산물 포함)의 위생관리는 식약청이 수행하고 있다”며 “수입농산물과 가공품에 대한 현행 관리체계의 업무개선 단일화 수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대다수 농민들이 유기농으로 귀농을 하고 싶어도 확실한 판매활로가 없어서 망설인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기농으로 농사짓는 농민들이 자체적으로 단체화해야 안정적으로 판매할 수 있고 소득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의거 식품에 함유된 유기농산물 함량에 따라 ‘유기’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 사용을 쓸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는 미시행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수입 유기가공식품의 통관 시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수출국 인증기관의 인증서 확인만으로 ‘유기’표시를 할 수 있으며, 국내 유기가공식품은 수출의 경우 수입국가의 인증을 받아야 수출이 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배경근 팀장은 “한국도 유기 가공식품의 원활한 유통과 소비자보호를 위해 유기가공식품인증제도의 도입과 다양한 제품개발이 필요하다”며 “소비자 혼란 및 통일된 국내 유기인증마크 도입과 수입유기농산물의 경우 통관과 당국 인증을 위해 국가간의 MOU를 체결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또 “이제 신토불이만 외칠 것이 아니라 수출을 해야 우리 농산물의 발전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아시아농업기준·규격 필요
정진영 회장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이며, 실천하기 쉬운 친환경농법을 개발해 보급하고, 친환경직불제 등 정부지원 내실화를 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자연순환형 농업시스템을 확산하고 지역별 농업환경계측시스템을 구축해 국토 환경 및 경관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발표했다.
농업환경계측시스템이란 친환경농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별 농약 화학비료 사용량, 분뇨 배출량 등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는 “정부에서 지금까지 홍성·홍동지구, 울진·왕피지구 등 중·소규모 친환경지구 611개소를 조성해 이 중 40개소에 대한 조사결과 소득이 20~23%가 증가했고, 농약은 46%, 화학비료는 30% 절감효과가 있었다”고 인용하며 “중·소규모 친환경지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자연순환형 친환경농업시스템을 갖춘 대규모 친환경농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쿠에 미치아키 대표는 “일본도 90년대에 이미 유기농산물을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하는 ‘제휴’방식과 ‘전문유통단체’에 의한 회원제판매에서 일반유통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며 “99년 ‘농림물자의 규격화 및 품질표시 적정화에 관한 법률’에서 특별한 생산방식 또는 특색 있는 원재료를 사용한 농산물의 사용을 규정하는 특정 JAS법을 만들어 유기농산물표시기준을 작성하고, 등록인증기관의 제 3자 인증을 받은 것만을 유기농산물로 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dex규격이 있는데 굳이 아시아농업기준의 규격을 만들 필요가 있냐는 한 방청객의 질문에 도쿠에 미치아키 대표는 “Codex의 내용이나 규격은 훌륭하지만 유럽과 아시아는 농산물에 대한 생산방법, 기후 등 모든 것이 다르기 때문에 Codex의 규격에 아시아농업을 비교하기란 어려운 점이 많다”라며 “지역의 다양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아시아농업기준의 규격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자의 대부분은 국제간 교역에서 필수요건으로 제 3자에 의한 품질인증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유기가공식품의 인증 및 제도화를 반드시 규격화해야 하며, 체계적인 교육과 실무에 의한 국가간 상호 신뢰성 구축을 위해 민간 인증기관의 확대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