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연대, 식량자급률 목표수준 먼저 챙겨야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4일 농림부, 교육부 등 6개 부처에 대한 개각을 단행하고, 신임 농림부장관에 박홍수 열린우리당 초선의원을 발탁했다.
노 대통령은 농림부장관 교체와 관련해 "애초 인사계획이 있었고 쌀 협상 등으로 시끄러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조용해 취소할까도 싶었으나, 농민 반발을 달래기 위해 부득이하게 교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신임 박 장관은 고향인 경남 남해에서 마을 이장을 시작으로 지역 농민운동에 투신,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농연) 회장까지 지낸 '농정전문가' 초선 비례대표의원이다.
지난 17대 총선 당시 비례대표에 20번에 배정됐던 조성준 전 의원이 탈락한 뒤 농어민대표자격으로 비례대표에 배정,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박 신임장관은 지난해 국정감사 때 농협의 신용사업과 경제사업 분리와 관련해, 시행은 바로하되 2년 정도 유예기간을 둬 농협이 신·경 분리에 대응하도록 해야한다는 '신중론'의 입장을 보였다.
또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평소 강조하면서 우리 쌀을 반드시 지키고, 나아가 수출액의 1%를 농업회생기금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아울러 21세기는 '종자전쟁'의 시대라고 강조하며 한국의 농업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농업유전자원관리법' 제정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노 대통령과는 후보 시절부터 농업관련 정책을 공약에 반영시키는데 주력하면서 호흡을 맞춰왔으며, 노 대통령 당선 이후 세계무역기구(WTO)와의 쌀 협상, 농협법 개정 등 민감한 농정 현안과 관련해 비공식적인 자문 역을 수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17대 신규의원 재산등록 신고 당시에는 빚이 3억 2600만원이라고 신고해 신규 재산등록 대상 203명 가운데 민주노동당 현애자 의원에 이어 2번째로 재산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문제에 대한 전문성과 농민단체와의 의사소통을 중시한 것이 이번 발탁의 배경으로 알려지고 있다.
신임 장관 임명과 관련해 농림부 관계자는 "농업 현장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농정을 무난하게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여당 출신의 장관이 임명돼 진통이 예상되는 국회비준 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행정경험이 전혀 없어 산적한 농정현안을 잘 처리해낼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전국농민연대는 이날 "장관이 취임 이후 먼저 챙겨야 할 일은 식량자급률목표 수준을 법제화 하는 일이다"며 "이를 통해 농업의 기본 계획과 목표가 정확히 선 이후에 추곡수매를 비롯한 양정제도, 농지제도 등을 논의하는 것이 순서다"고 논평했다.
▲경남 남해 출생(50) ▲경상대 임학과 ▲한국농업경영인남해군연합회 회장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 ▲한국농어민신문 사장 ▲농협중앙회 개혁위원 ▲세계농업관련NGO회장 ▲열린우리당 농민위원장 ▲17대 의원(초선)
정병기 기자/hope@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