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감자 심사의 투명성을 둘러싼 논란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다시 불붙었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은 “국민의 식탁과 직결된 사안임에도 농촌진흥청이 심사위원 명단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GMO(유전자변형작물) 심사 전반의 신뢰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7일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 국정감사에서 송 의원은 “농진청 내 LMO 감자 유해성심사위원회가 국민 건강과 식품 안전과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위원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현재 농생명위원회를 통해 민간단체와 협의하며 관련 논의를 공개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과거 LMO 관련 갈등이 첨예해 전면 공개는 어렵다. 다만 국회에서 원하면 위원 열람은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송 의원은 이어 오후 질의에서 다시 문제를 제기하며 “2018년 농진청이 6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LMO 농업위해성심사위원회 운영에 관한 연구용역’을 진행했는데, 그 결과 ‘심사위원 명단과 회의록까지 공개해야 한다’는 권고가 있었다”며 “왜 용역 결과를 반영하지 않고 비공개를 고수하느냐”고 추궁했다.
그는 또 “심사위원회 구성의 전문성·투명성·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며 “국민 안전과 생명과 관련된 사안인 만큼 일본 수준의 공개·검증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 청장은 “저희 위원회는 4개 분과로 구성돼 있고, 각 분야별 최고 전문가를 위촉해 운영 중”이라며 “경사농생명위원회를 통해 시민단체와도 연 1회 이상 협의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에도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송 의원은 “위원 명단을 즉시 전면 공개하기는 어렵더라도 회의록이나 주요 심의 결과부터 단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며 “GMO·LMO는 국민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안이니만큼, 불안 해소를 위해 더 적극적인 정보공개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송 의원은 지난 14일 열린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도 LMO 면화씨의 불법 유통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사료용으로만 수입·유통돼야 할 LMO 면화씨가 서울 경동시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약재·식용으로 둔갑해 팔리고 있다”며 “정부가 이를 알고도 늦장 대응했다”고 비판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조사 결과, 시중에서 판매된 면화씨 일부가 실제로 LMO 판정을 받았으며, 해당 품목은 식약처와 농진청으로부터 사료용 수입 승인을 받은 제품이었다. 송 의원은 “LMO는 국민 건강과 식품 안전에 직결된 문제인 만큼, 관련 정보와 심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