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 기자] 전통 장 생산자와 소비자, 시민단체가 한목소리로 정부의 장류 식품공전 개정안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10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발효 없는 화학장은 간장이 될 수 없다”며 개정안 철회를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대책위가 공동 주최했으며, 간장포럼·녹색소비자연대·한살림연합 등 전국먹거리연대, GMO반대전국행동 등 40여 단체가 참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 8월 장류협동조합 요청을 근거로 간장·된장·메주 등 현행 5종 장류 유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식품공전 분류체계 개편 연구사업(2025.3~12)을 통해 ‘장류→조미식품’으로 대분류를 변경하는 안까지 논의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책위는 “장은 발효가 본질인데, 염산으로 대두박을 분해해 3~4일 만에 대량 생산하는 산분해 간장은 발효식품이 아닌 단순 화학조미료”라며 “발효 간장과 동일 분류로 묶을 경우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이 침해된다”고 비판했다.

송옥주 의원은 “한식메주, 한식간장, 한식된장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며 “행정 편의주의가 아닌 문화적 가치와 전통을 고려한 분류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인숙 친환경무상급식풀뿌리국민연대 공동대표는 “간장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발효식품”이라며 “3~4일 만에 나오는 화학 용액을 간장이라 부르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식약처가 지나치게 편의적이고 졸속적으로 식품공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일부 장류 대기업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려는 것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마저 든다”고 비판했다. 또 “간장 대분류를 없애고 ‘조미식품’ 하위로 통폐합하는 것은 간장이 가진 위상과 한식 문화의 정체성을 말살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는 “전통 메주 장은 최소 10개월 이상 숙성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산분해 간장은 화학 공정으로 3~4일 만에 생산된다”며 “이것을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건 역사적 퇴행”이라고 말했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에서 ▲식품공전 개정안 전면 중단 ▲된장·고추장·간장·청국장·메주 등 발효 방식에 따른 세분화 기준 마련 ▲소비자·생산자가 참여하는 숙의 절차 보장 등을 요구했다.
이날 회견 후 대책위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출범식을 열고, 이어 ‘장류 식품공전 개정’ 관련 토론회를 진행하며 향후 공동 대응을 예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