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상-임상민 십억스캔들 전말은?

우일농산과 계약파기...마늘농가 손실 논란


푸드투데이 마늘의고장 의성군 현장취재 류재형 / 조성윤 / 황인선기자


대상그룹의 계열사이자 임창욱 회장의 차녀 임상민이 최대 주주인 아그로닉스(대표 오수환)가 우일농산영농조합법인과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 10억원의 손실을 입혀 논란이 되고 있다.


대상그룹 경영지원실장 출신인 오수환이 대표로 재직중인 아그로닉스는 ‘종가집김치’, ‘청정원(고추장)’, '맛선생', ‘홍초’, ‘wellife' 등의 브랜드로 식료품을 생산하는 (주)대상, 대상FNF 및 기타 대상그룹 계열사로 구성돼 있다.


아그로닉스의 지분구조는 대상홀딩스 50%, 임창욱 회장의 둘째 딸인 상민씨가 27.5%, 장녀 세령씨가 12.5% 대관령원예농업협동조합이 10%를 보유하고 있다.


대상홀딩스의 경우 상민씨가 38.36%, 세령씨가 20.41%, 임창욱 회장이 2.88%, 임 회장의 부인인 박현주 부회장이 2.87%를 보유하고 있어 사실상 아그로닉스는 대상그룹의 오너 일가가 보유한 회사다.


계약기간 내 비상식적 클레임·단가 후려치기 등 ‘횡포’


대상과 우일농산의 악연은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상FNF 구매팀은 2010년 4월 종가집김치의 재료로 쓰일 깐마늘을 우일농산에 요청했고대상은 시장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물품공급계약을 체결한 후 시중 마늘 가격이 계약가격보다 높을 경우에만 계약을 준수하고 시중가격이 계약가격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품에 하자가 있다는 핑계로 반품해왔다.


대상FNF는 같은 해 6월 깐마늘의 시장가격이 폭등하고 ‘종가집김치’에 양념을 공급하는 업체와 마늘 등을 원활학세 공급 받을 수 없게 되자 우일농산을 찾아와 “그 전과 같은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 같은 말을 믿은 우일농산은 새롭게 설립된 대상그룹 아그로닉스와 2010년 7월 1년간 월 33톤 총 400톤의 국내산 깐마늘을 공급하는 물품거래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아그로닉스는 2011년 1월부터 일방적으로 납품을 중단하는 등 계약을 불이행했고 우일농산은 보관 중이던 마늘을 이른바 ‘땡처리’로 처리해 약 10억원의 금전적인 손실을 입었다는 것이 우일농산의 설명이다.

 

아그로닉스 “계약 중단 합의된 것” VS 우일농산 “대기업 횡포”

 

이에 대해 아그로닉스와 우일농산의 주장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그로닉스 관계자는 “2010년 12월 우일농산 대표와 만나 구두상으로 계약 해지에 대해 합의한 사안”이라며 “우일농산의 주장은 억지”라고 주장했다.


또, “2010년 12월 당시 마늘 가격이 폭등해 우리 말고 다른 곳에 마늘을 팔면 우일농산이 더 큰 이익을 남길 수 있는 상황이였다"며 "마늘 가격이 폭등하게 되면 물건이 없어서 못 파는데 팔 곳이 없어 손해를 봤다는 주장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일농산 측은 "1년동안 납품하기로 계약하기로 한 것을 중간에 일방적으로 끊어버리면 장기계약을 믿고 낮은 단가로 들어간거에 대한 손해도 큰데 그 상태에서 계약 해지 합의에 동의를 하겠냐"며 "법률적으로 계약의 해지는 양측이 합의서를 써야 성립되는 것"이라며 합의에 의한 계약 해지라는 아그로닉스의 주장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마늘은 일반 농산물과 달리 경매로 가격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아는 사람끼리 사고 파는 시장 구조이기 때문에 아그로닉스에 납품하기 위해 이미 확보한 물량의 처리를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거래 관계가 없는 판매처에 kg당 더 낮은 가격에 내 놓아야 했다"며 "그 과정에서 우일농산이 막대한 손해를 봤다"고 설명하고 아그로닉스 측의 주장은 자기네 방식에 의한 계산법이라고 주장했다.


우일농산은 또 “사전에 월 33톤을 납품을 하기로 한 것 중 일부 물량만 aT에서 받겠다고 양해를 구했으면 우일농산도 수긍했겠지만 아그로닉스는 이해타산을 따져 아예 계약을 파기해 버렸다”며, “불공정거래 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한 만큼 조만간 판결이 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우일농산 측은 공정거래위원회 결과에 따라 민.형사 소송을 고려하고 있으며 아그로닉스 측도 변호사를 선임한 상태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한 농민은 “대기업 입장에서 작은 기업을 무시해도 된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며, “대기업과 거래하는 농가 중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정부의 보호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관련기사

1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