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음료시장 판도를 흔들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무가당(無糖)’ 음료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주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 식품기업의 수출 전략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일본 음료 시장에서 ‘제로 칼로리’, ‘무가당’ 콘셉트의 제품이 20~40대는 물론 중장년층에서도 인기를 끌며 지속적으로 판매량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가당 음료의 대표 주자로는 미네랄 워터, 탄산수, 무가당 커피 및 홍차 등이 꼽힌다. 과거 ‘스트레이트 티’에 한정됐던 무가당 홍차 제품은 최근 레몬, 밀크 등 플레이버 옵션까지 확장되며 선택지를 늘리고 있다. 블랙커피는 이미 무가당 음료의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 단맛을 배제한 음료가 소비자의 일상 속으로 깊이 파고들면서, 단맛 없는 ‘기능적 음료’가 일종의 프리미엄 음료로 인식되는 흐름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강을 중시하는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무가당 음료의 선호가 두드러지며, 당뇨병 등 만성질환 예방과 직결된 ‘식생활 자가 관리’ 차원에서 소비가 이뤄지고 있다. 2015~2024년 10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싱가포르 식품청(SFA)이 소비자 건강 보호와 정보 제공 강화를 위해 포장식품의 ‘글루텐 프리(Gluten-free)’ 및 ‘글루텐 감소(Reduced gluten)’ 표시 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해당 개정안은 2025년 1월 31일에 발표됐으며 2026년 1월 30일부터 시행된다. 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이번 개정안은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와 함께 글루텐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소비자 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개정에 따르면 ‘글루텐 프리’ 문구는 글루텐 함량이 20mg/kg 이하, ‘글루텐 감소’는 100mg/kg 이하의 기준을 충족해야 사용 가능하다. 또한 해당 식품이 기존 제품의 영양소 대체품으로 판매될 경우, 유사한 수준의 비타민·미네랄 함량도 충족해야 한다. 이 기준은 슈퍼마켓, 편의점 등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포장식품에만 적용되며, 온라인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제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싱가포르 보건부(MOH)와 식품청(SFA)는 셀리악병이나 글루텐 불내증이 있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셀리악병은 글루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장에서 영양 흡수가 저해되는 질환이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