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7년 12월 7일 태안반도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한지 벌써 5년이 다 되어 가지만, 정작 사고를 낸 삼성중공업은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중국에서 허베이호와 과실률에 대한 재판을 진행하면서 1000만달러의 화해비용을 주고 과실률 5:5로 합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피해를 본 태안반도 해안가 인근은 땅을 파면 아직도 기름띠가 나오고, 굴 양식장을 잃은 어민 등 4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연인원 2000만명이 넘던 방문객은 사고 직후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숙박업소나 횟집 등 상권도 황폐화됐다.
지난 25일에는 서해안유류피해민총연합회 회원 800여명이 서울 서초구 삼성중공업 사옥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고 태안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삼성이 피해지역 경제회복 등에 나설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삼성은 과실이 없다면 떳떳하게 재판에 임했어야 했다"며, "그러나 중국측과의 재판을 중지하기 위해 1000만달러를 화해비용으로 지불한 것은 삼성의 과실이 50% 있다고 자인한 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사고책임은 삼성중공업과 허베이호가 5:5, 배상책임은 예인선을 배로 인정해서 56억원인데 반해, 국민들의 자원봉사 참여와 모금액은 390억원, 정부의 피해민 생계안정 등 지원에 6388억원, 특별해양환경복원 계획으로 4786억원, 지역경제 활성화사업 추진에 1조1285억원 등 국민의 혈세만 2조2849억원이 들어갈 예정이다”며 “삼성중공업의 2007년~2011년까지 당기순이익은 3조6229억원에 이르고 있지만, 출연약속은 고작 1000억원인데도 이조차도 이행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사고는 삼성이 내고 환경피해복구 등은 국민 혈세로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삼성이 어느 나라 기업인지 의심스럽다”며 “이번 태안특별위원회를 통해 정부의 피해지역 이미지 개선 및 지역경제활성화 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통해 실질적 지원방안이 마련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