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중독 지수 '경고단계'..각별히 주의해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장마철이 끝나는 요즘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서 식중독균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므로 음식물 관리에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식약청에 따르면 현재 전국 평균기온 23~30℃, 평균습도 60~80%로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이 식중독 지수 '경고 단계(50~85)'에 해당된다.


식중독 지수는 특정 온도와 습도에서의 식중독 발생 확률을 백분율로 수치화 한 지수로 과거 3년간 식중독 발생 지역의 온도와 습도를 기초로 개발한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산출되는데, 경고 단계에서는 식중독균이 왕성히 증식하므로 음식물 취급을 소홀히 하면 4~6시간 내에 부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집중 호우로 하천 등이 범람하면서 흙이나 주변 환경에 존재하던 병원성대장균 등 식중독균이 지하수.채소류 등으로 옮겨질 우려가 있어 식약청은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침수되었거나 침수가 의심되는 채소.과일류나 음식물은 폐기 ▲음식물은 가급적 한번 식사 분량으로 조리 ▲남은 음식은 바로 냉장보관 하고 섭취 전 상태 확인 ▲곡류 등은 곰팡이가 생성되지 않도록 건조한 곳에 보관  ▲지하수 등 음용수는 반드시 끓여 마실 것 ▲침수된 칼.도마.행주 등 주방용품들은 끓는 물 또는 가정용 소독제로 살균 ▲곰팡이와 세균이 쉽게 번식할 수 있는 싱크대.식기 건조대 등은 청소와 소독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식약청은 손씻기 등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식중독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설사나 구토 증세가 있을 경우 신속하게 병원이나 보건소를 방문해 치료받을 것을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