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농식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품 이력추적 관리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철원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1일 대전 중구보건지소에서 열린 농식품안전설명회에서 "식품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전파식별) 방식을 이용한 식품 이력추적관리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최근 멜라민 등 독성물질이 포함된 분유와 생쥐머리 새우깡 등 잇단 식품 안전사고로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GMO 등 유전자변형식품과 잔류농약이 함유된 농산물, 광우병 위험 등으로 지구촌의 먹거리 환경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식생활을 위해서는 식품 위해요소에 대한 관리기준을 유럽연합(EU) 수준으로 강화하는 한편 식품 이력추적제, 우수농산물 인증제(GAP)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식품 이력추적관리시스템이 도입되면 소비자들은 식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보고 인터넷이나 매장내 인식기, 모바일 폰 등을 이용해 제품의 생산에서 유통까지의 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이날 설명회는 김철원 교수의 강의에 이어 김미리 충남대 식품영양학과 교수의 '농.축산물의 각종 위해물질' 강의, 서맹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기동단속반 팀장의 원산지 표시제 강의 등의 순으로 3시간동안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