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충남, 고품질 쌀 생산 적기수확·조기건조 중요

도 농업기술원 벼 수확 후 품질저하 방지·관리법 전파


충남농업기술원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적기에 수확하고, 수확된 벼는 조기에 건조를 실시해 저장하는 등 수확후 관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올해 햅쌀은 운광벼와 주남조생, 조평벼를 중심으로 추석 전 도내에서만 1123ha 면적에서 약 5500t 가량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벼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은 양적·질적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간접증산에 기여하고, 연중 균일한 밥맛을 유지해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확보하는데 있다.
  
벼 수확은 이슬이 완전히 마른 다음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소규모 농가라면 건조시간과 비용을 고려해 오후 2시부터 이슬이 내리기 직전까지가 가장 적정한 수확 시간이므로 농가별 영농여건에 맞게 수확하는 것이 좋다. 

쌀 품질저하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고온건조이므로 밥쌀용은 50도, 종자용은 40도 이하에서 서서히 건조해야 한다. 고온건조를 하게 되면 금간쌀 비율이 증가하고 밥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수확당시 수분함량이 높은 벼 일수록 송풍온도를 낮게 해야 금간쌀 발생을 줄이고 좋은 밥맛을 유지할 수 있다.

수확기에는 물벼 건조물량이 집중되므로 1차적으로 18%로 건조해 단기간 간이 저장했다가, 건조 조건이 확보되면 15%까지 건조하는 것이 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RPC 등 대량 쌀 가공업체에서는 1차 건조 후 사일로에서 16%까지 상온송풍건조 및 저장하는 것이 좋다.

연중 변함없는 밥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장온도가 중요한데 벼 수분함량과 저장온도가 높으면 화랑곡나방 등 저곡해충 발생은 물론, 유리지방산이 증가해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벼 수분함량 15% 이하, 실내온도 10~15도, 습도 70% 이하, 산소 5~7%, 탄산가스 3~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봄부터 피땀 흘려 재배한 고품질 쌀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려면 적기수확, 적온 건조와 저장이 매우 중요하다”며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최고의 충남쌀 생산을 위해 최선의 기술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