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유무영 식약차장 "식품안전의 날, 올바른 식품문화 성숙한 시민의식이 답"


"식품안전의 날은 사실 일상의 평범한 소중함을 일깨우는 날이 돼야 한다. 식품안전의 날 제정과 다양한 행사를 통해 국민 인식이 재고 되기를 기원한다." 유무영 식약차장의 말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 2002년부터 매년 5월 14일을 식품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식품안전 등에 기여한 유공자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식품안전의 날'로 지정, 온 국민이 참여하는 행사를 운영해오고 있다.


매년 식품안전의 날에는 건강한 식생활 문화와 안전한 식품환경 조성, 불량식품 근절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이에 푸드투데이는 지난 9일 유무영 차장(인터뷰 당시 서울식약청장)을 만나 식품안전의 날 의미를 짚어보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식품안전정책에 대해 들어봤다.


유무영 차장은 "식품안전의 날은 국민이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과 식품업계에 종사자들의 자부심을 위해 만들어진 날"이라며 "식품을 통한 건강, 행복한 삶은 무엇 보다도 필수 불가결하게 현대인에게 필요한 부분이라서 식품안전의 날 제정과 다양한 행사를 통해 국민 인식이 재고 되기를 기원한다"고 식품안전의 날 의미를 설명했다.


유 차장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식품안전 정책에 대해 3가지로 압축했다. 식품을 통한 위해 가능성 방지, 식품의 질 향상 위해 가능성 감소, 정확한 정보 전달을 꼽았다.


식품을 통한 위해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양질의 식품을 공급하는 것, 나트륨 줄이기.당 저감화 운동을 통해서 국민의 건강을 지켜나가겠다는 것이다.



유 차장은 "발암성분이 있다던지, 유해물질이 소량 있는것 만으로 유해가 발생하거나 사회적으로 유해가 가해지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종종 유해성분 하나만으로도 사회 전체가 혼란에 빠지는 것을 경험했다"며  "이런 혼란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해야 되는 것을 경험 할 것이고 이제는 보다 좀 성숙한 형태에서 식품의 유해를 냉정하게 바라보고 사회적으로 평가하는 시점에 와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험의 크기를 제대로 관리하고 위험의 크기를 평가하는 성숙한 시민 의식이 자리잡는 것이 올바른 식품문화가 정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다음은 유무영 처장과의 일문일답>


- 5월14일 열리는 식품안전의 날 어떤 의미가 있나.


식품안전의 날은 2002년에 처음 재정돼 15번째를 맞게 됐다. 잘 아시다시피 만성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식생활이다.


식품안전의 날은 국민이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과 식품업계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의 자부심을 위해 만들어진 날이다.


실질적으로 식품을 통한 건강, 행복한 삶은 무엇 보다도 필수 불가결하게 현대인에게 필요한 부분이라서 이날을 제정을 해서 현재까지 이르게 됐고 식품안전의 날의 각종 행사라던지 이런것들을 통해서 국민의 인식이 재고 되기를 기원하고 있다.



-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식품안전정책들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식품안전 정책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식품을 통한 위해 가능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시작하면서 불량식품 근절을 4대악으로 규정하고 그것에 대한 전력질주 하고 있는 이유도 식품을 통한 위해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양질의 식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취지가 되겠다.


둘째, 식품의 질을 향상 시켜 위해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영양성분이지만 과도하게 섭취되면 위해 가능성 있는 나트륨, 당이 있다. 그래서 저희들이 나트륨 줄이기 운동, 당 저감화 운동을 통해서 국민의 건강을 지켜나가는 것이 추진 방향이 되겠다.


셋째, 정확한 정보를 드리는 것이다.


이번 정부가 출범 하면서 159종의 식품 정보가 통합이 되서 통합식품정보망이 구축되었고 그것을 통해서 각종 정보가 실시간으로 부처간의 공유가 되고 국민들에게 제공함으로서 보다 낳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15회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국민들께 한 말씀.


식품안전의 날은 사실 일상의 평범한 소중함을 일깨우는 날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사회에서 종종 식품의 위험과 관련되서 논의되는 것 중 하나는 위험의 크기라고 생각한다. 발암성분이 있다던지, 유해물질이 소량 있는것 만으로 유해가 발생하거나 사회적으로 유해가 가해지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종종 유해성분 하나만으로도 사회전체가 혼란에 빠지는 것을 경험했다. 이런 혼란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해야 되는 것을 경험 할 것이고, 이제는 보다 좀 성숙한 형태에서 식품의 유해를 냉정하게 바라보고 사회적으로 평가하는 시점에 와있다고 판단이 된다.


그런점에서 위험의 크기를 제대로 관리하고 위험의 크기를 평가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성장하는 것이 식품문화를 정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부탁드린다.


- 식품 유해 요인들이 어떤것들이 있나.


식품 유해요인은 시대에 따라 좀 달라지기 마련인데 1인가족은 늘고 그렇다 보니 외식도 늘고 국민의 25% 정도는 하루 한끼 급식을 먹는일도 생기고 한미 FTA를 통해 무역이 확장되다 보니 수입식품은 많아 지고 이런 제반, 물론 기후변화 이런 영향이 있다.


이런 여러 영향들이 실질적으로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모든 하나의 위험 요소라 할 수 있고 이런 측면에서 수입식품 특별법 등을 통해서 종전에 통관 관리를 해외 제조사 관리 중심으로 물품 중심의 관리를 사람 중심의 관리까지 확장해 가고 있는 것도 이러한 위해 요임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것에서 시작한 것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