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푸드투데이 국감현장]귀농귀촌 정책 추진의지 있나?

윤명희 의원 “귀농귀촌농가소득 1,688만7000원, 일반농가 57%수준”

귀농귀촌은 이른바 베이비부머세대들의 은퇴와 맞물려 계속 확대되는 추세다. 전북은 전국에서 농업이 가장 활발한 도인만큼 귀농귀촌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윤명희 의원(새누리당)이 밝힌바에 따르면 최근 전라북도로의 귀농귀촌2010년 883가구에서 지난해 661가구 올 6월까지 1247가구 등 활발한 귀농귀촌이 이루어짐을 감안하면, 전북도의 귀농귀촌 정책 역시 추진력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귀농세대의 소득이 일반농가의 57%수준으로 귀농귀촌의 안정적인 정착에 어렴이 있다. 농업인재개발원의 자료에 따르면, 일자리부족과 소득부족의 사유가 가장 크다. 일자리가 부족하다 보니, 소득이 없고 이는 역귀농의 현상으로 이어 지는 것이다.

 

전라북도의 경우 귀농인 평균 소득은 1,688만7000원으로 2011년 전북 농가소득 2963만9000원의 57%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귀농을 했어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없다.

 

따라서 상당한 역귀농 현상이 이루어질 거라 예상되는데, 전라북도 차원에서 역귀농에 대한 조사를 한 적이 없다. 귀농정책에 있어서 역귀농에 대한 조사 자료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귀농귀촌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 정보제공이다. 귀농귀촌을 준비함에 있어 필요한 각종 지원제도 및 영농기술 등 각종 정보 획득이 용이해야 한다.

 

그러나 전라북도는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다. 지난 4월23일 귀농귀촌 지원센터를 개설했지만 직원은 달랑 1명 그것도 퇴직공무원인 민간인이 맡고 있다. 그러다보니 상담, 알선, 교육, 홍보 등을 혼자서 처리해야하는 상황이라 제대로 된 센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센터 역시 마찬가지다. 서울센터 개소라고 거창하게 얘기하지만, 실제로는 기존의 전북투자유치사무소에 근무하는 공무원에 귀농귀촌 업무를 추가한 것일 뿐이다. 귀농귀촌을 위해서는 귀농귀촌 준비부터 현장교육, 작목선택 등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로 한다.

 

귀농귀촌활성화 취지에 알맞게, 귀농귀촌에 필요한 모든 것을 One-Stop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귀농귀촌센터를 만들어야 한다. 농촌진흥청에 있는 귀농귀촌종합센터와의 연계도 반드시 필요하다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