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브리핑]강제 저염식 해야할 판?...소스.장류값 30% 폭등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신선식품을 비롯한 밥상물가가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가공식품과 장류 크게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7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32개 품목 중 24개 가격은 1년 전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오른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5.3%다.

특히, 양념류와 소스류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다. 품목별로 보면 햄의 10g당 가격이 지난해 10월 대비 37.7%나 올라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케첩은 100g 기준 36.5%, 된장이 100g 29.6% 껑충 뛰었다.

이 외에도 간장(100mL·28.6%), 참기름(10mL·27.8%), 카레(10g·25.4%), 마요네즈(100g·24.1%) 등 물가가 큰 폭으로 인상됐다.
 
또, ▲생수(100mL·16.9%) ▲우유(100mL·13.8%) ▲설탕(100g·11.3%) 등 필수 식품으로 분류되는 품목이 15% 안팎의 높은 가격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 가격이 떨어진 품목도 있었다. 콜라 100㎖ -6.5%, 소시지 100g –5.7%, 맛살 100g –4.5%, 시리얼 100g –3.7%, 컵라면 100g –2.6%, 수프 10g –1.6% 등으로 주로 기호 식품이었다. 이들 8개 품목의 평균 하락률은 3.2%다.

대상 품목의 가격은 유통업체 할인 등이 반영된 실제 판매가가 반영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형마트 등이 고물가 속에서 11월 ‘할인 시즌’을 내걸며 장바구니 품목의 할인 등에 나서고 있는 만큼 이 판매가는 변동이 있을 수 있다.

 

32개 다소비 가공식품 중 전월 대비 상승률을 나타낸 품목은 20개로 식용유, 어묵, 참기름, 된장, 콜라, 컵밥 등을 중심으로 3~6%대로 집계됐다.

 

소비자워 관계자는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7.5%를 찍은 후 7월 6.8%, 8월 6.3%, 9월 5.8%로 세 달 연속 둔화세"라고 설명 하면서 "햄버거·우유·맥주 등의 가격 인상으로 먹거리 물가 부담이 다시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