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최대 수입식품 소비국 '중국' 공략법은

트렌드 분석...음료시장 세분화.냉동식품 시장 급성장, 식품안전 정책 강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되자 중국시장 진출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식품업계에 중국바람이 거세다. 거대한 중국 내수시장을 선점해 위기를 기회로 삼기 위해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2008년 세계금융위기 상황에 중국의 식품산업도 큰 충격을 받았으나 여전히 20%대 성장률 유지하고 있다.


2015년 중국의 식품시장 규모는 1조억 달러 예상(2011년 대비 38% 증가)돼 미국(9300 억 달러 예상)을 제치고 세계 1위 식품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농식품 소비시장 규모는 2005년 2조 5046억 위안 규모에서 2012년 5조 7924 억 위안 규모로 2.3배 확대돼 2015년까지 연평균 11% 속도로 성장할 전망이다. 2015년 가공식품 수요는 2126억 달러 규모 추산하며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한국 농수산식품의 대(對)중국 수출액은 2007년 4.5억 달러에서 2013년 13억 달러로 290% 증가했으나 중국 내수 식품시장에서 한국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2013년 한국의 대(對)중국 농식품 수출액은 6억 7800만 달러로 중국의 농산물 총 수입액에서 0.6% 점유에 그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의 프리미엄시장 집중 공략 전략과 중국 로컬기업이 월등한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한국식품이 경쟁 우위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중국 식품 시장의 최근 트렌드를 2회에 걸쳐 분석해 중국 농식품 시장 진출 전략을 알아본다.



스포츠.에너지 등 기능성 음료 판매 증가...기능성 세분화


기능성 음료와 커피류 향후 몇 년간 중국 소비자의 입맛을 공략할만한 유망 식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도시 소비자의 운동 및 야외활동 증가에 따라 스포츠·에너지 등 기능성 음료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스턴트 커피믹스나 분말커피, 캔커피 등도 인기다.



중국 선전태양생물과기주식회사에서 출시한 스포츠 음료는 중국음료업계에 고급음료 브랜드 열풍을 일으켜 많은 음료업체에서 고급음료를 앞 다퉈 출시했다.


‌고급화한 음료로 차음료, 오곡음료 등이 있으며 주스의 경우도 천연과일즙음료, 비타민C 강화 음료 등 고급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기능성 음료도 다시 세분화해 무카페인과 카페인 함유를 구분하는 등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음료의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마케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냉동식품 시장 30% 급성장...2017년까지 118억 달러 예상


중국 냉동식품 산업은 발전하기 시작한 지 10여 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시장 규모가 급격히 커지면서 신흥산업 중 하나로 부상했다.


‌2004년 45억 7000만 위안(한화 약 7430억 원)이었던 시장규모가 2013년 649억 8000만 위안(한화 약 10조 5,600억 원)으로 연평균 30% 내외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13~2017년 중국 냉동식품 산업의 매출은 연간 21.2% 증가해 11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산업연구보고 사이트는 2012년 냉동식품의 시장규모가 410만 톤에서 2025년에는 3526만 톤에 달해 8.6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중국 내 냉동식품 기업 수는 약 2000개 사로 추정되며 연간 매출액 1억 위안(한화 약 162억6000만 원) 이상 냉동식품 기업은 50개 사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 냉동식품시장 선두기업인 산취엔,스니엔, 미국의 General Mills, 타이완의 롱펑 등 선두기업 4개 사는 중국에 전국적인 판매망을 구축했으며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선두기업 외 나머지 40%의 기업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은 선두기업보다 상품 개발능력이 떨어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로 대기업의 OEM 생산을 맡거나 규모가 비슷한 기업끼리 협력하고 있다.


수입 농식품 인기 급상승, 세계 최대 수입식품 소비국 부상


소득향상으로 우수한 품질의 수입제품을 소비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수입농산품의 판매 이익이 높기 때문에 해외 농산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업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3년 중국 농식품 수입액은 952억 1000만 달러(8.9% 증가)로 총수입액의 5.03%를 차지한다. 2007년 이후 농식품 수입은 연평균 20.5%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0년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


미국식품공업협회는 2018년 중국의 수입식품 시장규모는 4800억 위안으로 세계최대의 수입식품 소비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국가통계국은 2019년까지 중국의 농식품 수입량은 매년 1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대표적인 수입식품은 우유, 올리브유, 과일로 2008년 멜라닌 분유 사태이후 이리, 멍니우 등 중국의 주요 유제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수입 유제품 소비 증가했다. 이하오디엔 등 대형 온라인 쇼핑몰은 수입 유제품 코너를 별도 개설해 빙그레, 연세우유, 서울우유, 독일 수키, 호주 데본데일, 영국 아스다, 프랑스 락텔, 미국 요사, 스위스 에미, 뉴질랜드 미랄레이트 등을 판매하고 있다.


웰빙에 대한 인식으로 유전자 변형식품을 기피하면서 스페인, 그리스 이탈리아 등 올리브유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외 포도씨유, 카놀라유, 아마씨유, 코코넛기름, 호두기름, 땅콩기름, 옥수수기름 등의 판매도 지속 상승 중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신선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득수준 향상으로 다양한 과일이 수입되고 있다.


국민 불신 절정, 식품안전 정책 대응 단행


2008년 멜라민 분유 파동, 2009년 가짜 계란, 2010년 염색해삼, 2011년 염색만두.독콩나물, 2012년 지방감소제를 투약한 돼지고기 등 식품관련
사건이 잇따르면서 중국산 농식품에 대한 중국 국민들의 불신이 절정에 달한 상태다.


2013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1호 안건으로 ‘먹거리 문제'를 제기했다. 국민들의 불만해결을 위해 중국 정부 차원에서 식품안전 문제에 대한 강력한 대응에 나선 것이다.




 
2013년 3월 22일자로 기존의 식품약품감독관리국(SFDA : Stat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이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Chin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으로 권한이 강화되면서 승격, 설치됐다. ‌기존 식품약품감독관리국, 위생부, 농업부, 상무부, 국가질량감독검사검역총국 등 각 부처에 나눠 있던 식품 안전 관리 업무를 통합하면서 해당 업무를 총괄하는 부서로 탄생된 것이다.


이후 2014년 5월 14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식품안전법’ 수정 초안이 통과됐다. 회의에서 리커창 총리는 식품안전보장은 곧 모든 소비자의 실질적 이익으로 연결 된다고 강조하면서 중국공산당과 정부는 인민 대중의 생명, 건강,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국무원에서 통과된 수정안은 아직 초안으로 향후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심의를 받은 후에 반포 및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소비자의 계속되는 요구에 따라 식품안전성에 대한 기준과 법적 강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중국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약칭 ‘질검총국’)은 지난해 3월 189개의 수입산 식품 및 화장품에 대한 불합격 리스트를 공고하고 폐기 또는 반품 조치했다.
 

189개 상품 중 식품이 183개이며 나머지 6개는 화장품으로 질검총국은 매월 한 차례 수입산 식품 및 화장품 중 불합격 판정을 받은 상품 리
스트를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불합격 리스트에 오른 상품중 한국산은 산둥성을 통해 입항한 21개 식품으로 O사 튀김가루, 잼, 라면, L사 캔디, H사 과자 등이 포함됐다.


불합격 판정 주요 원인은 크게 ‘관련 증빙 미비’, ‘유해세균 검출’, ‘품질 기준 미달' 등 3가지로 구분된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등 27개 국가 혹은 지역에서 수입된 불합격 식품은 대부분 증빙 미비, 유해세균 검출 등을 이유로 불합격 조치됐으며 한국 상품의 불합격 판정 요인은 증빙 불합격 15건, 증빙 미비 4건, 대장균 검출량 기준 초과 2건 순으로 해당 상품은 반품 또는 소각 처리됐다.


라벨링 규정, 식품안전 및 특정 품목의 교역 및 판매 조건 등을 강화한 규정을 수시로 발표하기 때문에 초기 규정준수로 인한 타 업체와의 경쟁, 원가상승 등의 어려움은 있어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규정을 준수할 것이 권고되고 있다.


또 ‌최근 상검국, 공상국 등 정부기관의 단속뿐만 아니라 조그마한 위법사항을 빌미로 금품을 요구하는 블랙 컨슈머도 기승을 부리고 있어 유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