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막화 방지 위해 한·중 사막화복원사업 합의 약정

5년간 길림성 서북부의 사막화 지역에 2000ha 초지 구성 등

최근 들어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운동연합과 중국지방정부가 황사문제 해결에 나서 눈길을 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중국을 방문한 이후 중국의 정부와 사막화 방지를 위한 초지복원 및 환경교류 사업을 지속적으로 논의했다.

그 결과 중국지방정부 길림성 임업청과 중국기업 장춘홍일생태복원유한책임공사와 사막화와 황사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간의 협력체를 구성에 합의하고 한·중사막화복원사업 협력합의서에 약정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7월 30일 중국 장춘에서 중국길림성 임업청 종묘센터 주임 왕백성, 장춘홍일생태복원유한책임공사 대표 홍호, 환경운동연합 이시재 중앙집행위원회 부의장(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은 사막화 방지를 위한 사업안에 합의, 약정하고 오는 9월 29일 중국에서 정식 계약을 맺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사업의 주 내용은 오는 10월 중국 길림성 서북부 100ha의 초지 조성을 시작으로 ▲5년간 황사의 발원지인 길림성 서북부의 사막화 지역에 2000ha의 초지를 구성하고 ▲사막화방지 인식증진을 위한 한·중 시민환경교육 ▲동북아 환경협력의 의견 정보교환 및 홍보활동을 골자로 한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3월부터 사막화방지를 위해 사막화지역의 토양과 물공급, 풀종자, 진원지의 지형, 인적자원 및 기존 조사자료 등 기초조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 민간차원에서 사막화 방지뿐 만 아니라 복원과정 관리, 모니터링 등 지역주민이 참가하는(지역주민관리위원회) 사막화방지 해결모델 구축이라는 성과를 얻게 됐다.

이같은 성과는 사막화와 황사가 가장 심각한 동북아의 환경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한 국제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민간환경단체 및 중국지방정부, 중국기업에서 인식을 같이한 것이 배경이 됐다.

환경연합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사막화를 비롯한 국제 환경문제에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책임과 역할에 나설 것을 기대"하고 있다며 "아울러 한·중 국민의 환경인식 증진과 민간차원의 동북아 환경협력 토대 확대, 지역주민 참여 등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기반 조성 효과를 내다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