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시, MZ 겨냥 K푸드 전통시장 야시장 11월까지 운영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을 끄는 야간 매력명소 조성을 목표로 11월까지 서울 곳곳에 위치한 전통시장 72곳에서 ‘야간‧먹거리 축제’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의 특색은 물론 K푸드의 매력까지 고스란히 즐길 수 있는 행사로 레트로 열풍으로 전통시장 방문이 늘고 있는 MZ세대와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는 계획이다.

 

 

 

이번 축제에 참여하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은 ▴백년시장(강북구) ▴왕십리도선동상점가(성동구) ▴남대문시장(중구) ▴성내전통시장(강동구) ▴장미꽃빛거리골목형상점가(중랑구) ▴영동전통시장(강남구) ▴방이시장(송파구) ▴창동골목시장(도봉구) ▴정릉시장(성북구) ▴영천시장(서대문구)등 총 72곳이다.

 

참여 전통시장들은 11월까지 각 시장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상권과 주변 인프라를 반영한 특색있는 행사와 계절에 적합한 시민 참여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마장축산시장에서 ‘한우 숯불구이 축제’를 개최하고 여름에는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맥주축제를 가을에는 달과 별을 보는 전통시장 피크닉 등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5월에는 ‘백야시장(백년시장 야시장) 축제’, ‘망원동 월드컵시장 글로벌 문화 축제’를 비롯한 16개 행사가 개최된다. 야시장에 딱맞는 메뉴를 선보이고 지역예술가가 참여하는 행사 등이 마련됐다.

 

백년시장에서는 23, 24일간 시장상인과 관내 대학 외식조리학과와 연계하여 개발한 20여종의 야시장 맞춤 메뉴를 선보인다. 또 ‘예술과 야시장 콜라보’ 주제로 강북지역 예술인 작품 전시와 예술인과 함께 작품을 만드는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또한 망원동 월드컵시장에서 24일부터 26일까지 맥주 페스티벌과 전통문화체험 부스가 운영된다. 시장 굿즈로 개발한 리유저블컵으로 맥주를 구매하면 경품추첨권 증정행사에도 참여할 수있다.

 

왕십리 도선동 상점가에서도 24일 맥주 축제가 열리는데 축제 메뉴로 개발된 음식은 행사 당일 뿐 아니라 축제 종료 후에도 밀키트 상품으로 구매 가능하다.

 

신림동 별빛거리 상권에서는 25일 별빛포차, 지역 내 거리예술가와 공방 등이 참여한 별빛놀이터를 운영한다.

 

이 외에도 남대문시장에서는 29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수제 맥주 브루어리를 초청해 남대문시장 대표 먹거리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야시장 ‘수제맥주 큰맥페스티벌’이 개최된다. 미션투어 등 고객참여 행사와 함께 아동복, 악세서리 할인행사도 열린다.  

 

중랑구 대표 축제인 ‘장미축제’와 연계해 장미꽃빛거리 골목형 상점가에서는 장미소주, 장미 하이볼 등 테마 주류와 안주를 판매하는 장미포차를 31일부터 6월 1일까지 운영한다.

 

6월에도 퓨전 음식부터 세계주류 페스티벌까지 다양한 테마의 행사가 기다리고 있다.

 

영동시장에서는 6월 5일 레트로 감성을 흠뻑 느낄 수 있는 유럽풍 디자인의 영동 퓨전 음식 거리를 조성하고, 시장 상품을 구매한 고객에게는 와인과 맥주를 무료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난곡 골목형상점가에서는 6월 15일 상점가 내 음식 구매고객 대상으로 생맥주 무료 제공하고 팝페라 등 지역 예술가의 공연도 선보이고, 구로5동 국제음식문화거리에서는 각국의 다양한 주류를 시음하고 구매할 수 있는 행사가 6월 21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된다.

 

대부분의 야간‧먹거리축제에서는 일정 금액 이상 구매고객에게 온누리상품권 증정, 경품 응모권 제공 및 할인행사 등 풍성한 사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7월~11월에도 시장특성과 계절을 반영한 다양한 행사를 통해 시민들에게 전통시장만의 매력과 재미를 알릴 계획이라고 시는 덧붙였다.

 

전통시장별 자세한 일정과 행사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와 자치구 전통시장 담당부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시는 물론 행사를 주관하는 상인회‧자치구가 협력해 모든 행사에 대한 안전관리계획 수립과 철저한 사전점검과 현장관리 등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들이 안전하게 행사를 즐기도록 할 계획이다.

 

송호재 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젊은 세대, 외국인들도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특별하고 개성 있는 행사를 준비했다”며 “이번 야간․먹거리 축제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