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소비자와 상생 잊었다"...햇반.음료 가격 인상에 소비자 뿔나

"매출원가율 하락, 영업이익률 높은데도 가격 계속 올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새해 초부터 계속되는 식품류의 가격인상에 소비자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기업의 매출원가율은 하락하고 영업이익률도 높은데도 기업이 일방적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해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원영희) 물가감시센터는 8일 성명서를 내고 "가공식품, 식음료 등의 가격을 수시로 인상하는 업계의 행태를 규탄하고,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CJ제일제당·오뚜기·동원F&B 원재료 값 상승 즉석밥 평균 8.0% 이상 인상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오뚜기, 동원F&B는 지난 2월 즉석밥 가격을 각각 6~7%, 7~9%, 11% 인상했다. 업체들은 즉석밥 원재료인 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제조 원가 부담을 이유로 들었다. 작황 악화로 쌀 공급량이 감소하는 등 즉석밥의 원재료인 쌀 가격이 2018년 이후 급격히 상승한 것.

 
이에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즉석밥 시장 점유율이 70% 이상으로 업계의 최고 맏형격인 CJ제일제당은 지난 5년 동안 3번이나 가격을 인상했으며 인상때마다 6~9%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큰 부담을 지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시기에 우리나라 주식인 '밥'을 판매하는 업계 선두 기업들은 시장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며 "제품 주재료의 가격 변동이 제품 가격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라도 기후 위기 등으로 곡물 가격의 등락이 심한 최근의 즉석밥 가격 인상은 소비자 상생 경영 운영인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가계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즉석밥 업계는 서민들의 주식이자 일상제품인 “즉석밥”의 도미노식 가격 인상을 지양하고 서민들의 주식을 책임지는 기업의 책임감과 쌀 소비 촉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가격 인상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대표 탄산음료 칠성사이다, 콜라 올해도 가격 인상


롯데칠성음료는 2월 1일부터 칠성사이다(6.6%), 펩시콜라(7.9%) 등 14개 음료 브랜드의 출고가를 평균 7.0% 인상했다. 업체는 이번 가격인상이 2015년 1월 이후 6년여만이라며 유통환경 변화와 인건비 상승 부담으로 부득이하게 인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에 대해서도 "업체는 작년 4월 1일 이미 편의점 채널에서 판매하는 칠성사이다 및 펩시의 355ml 캔 제품의 용량을 330ml로 감소시켰으나 가격은 1400원(편의점 가격 기준)을 유지함으로써 100ml당 394.4원에서 424.2원으로 실질적으로 7.6%(29.9원)의 가격인상을 한 바 있다"고 꼬집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또 "업체의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매출원가율은 2018년 60.3%에서 2019년 59.0%로 하락했고 영업이익율은 2018년 3.8%에서 2019년 4.7%로 전년에 비해 0.9%p나 증가했다"고 전했다.


지난 1월 1일부터 편의점 코카콜라 가격을 100~200원 인상한 코카콜라 음료에 대해서도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일부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5.9%, 5.0%, 4.8% 5.8% 등 4차례나 주기적으로 가격인상했다"며 "코카콜라음료의 매출원가율은 2018년 60.5%에서 2019년 60.1%로 소폭 하락했고 영업이익율은 11.3%로 전년 대비 0.7%p 증가했다. 영업이익율은 동종업계보다 2배 이상인 10%~ 11%에 달하는 점에 비춰볼 때 코카콜라음료의 이번 편의점 가격 인상은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높은 시장 점유율을 이용해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며 기업의 이윤만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결정"이라고 비난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의 철저한 가공식품 가격 담합 조사와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중장적인 정책 대안을 요구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매년 반복되는 연초 식품류의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는 장바구니 부담을 안고 한 해를 시작하고 있다"며 "정부는 급격히 다가오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비해 쌀을 포함한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중장기적 측면의 새로운 정책 대안을 모색해 식생활 원재료로 인한 물가 인상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