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 트렌드] 일본, 가공식품 원재료 원산지 표시 제도도입 1년 경과는?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일본 정부가 지난해 9월부터 모든 가공식품 원재료의 원산지 표시 제도를 도입한지 1년이 경과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도는 지난해 9월 가공식품 구입 시 원재료 원산지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확인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어나 모든 가공식품에 원재료의 원산지를 표시하게 해 소비자의 상품 선택 편의를 높이고자 마련됐다.  일본 농림수산성과 소비자청은 2022년 3월 31일까지는 원료 원산지 표시 준비과정의 유예 기간으로 결정했다.

3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일본농업신문은 제도 도입 1년을 맞이해 도쿄도 내 슈퍼마켓의 가공식품 표시상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식육제품 및 과자류 상품의 원재료 원산지 표시 비율이 5%로 타 제품에 비해 낮았다. 쿠키 등 주원료가 밀가루이나 원산지 표시가 없는 제품이 많았다.
 
음료 등은 슈퍼마켓 자체브랜드(PB)상품 중 과실음료에는 ‘사과(중국), 미국 등’으로 표시가 있지만 청량음료에는 표시가 없었다.

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빵은 ‘유메치카라’ 등 일본산 밀 품종명을 표시한 제품은 있으나 대부분이 수입산 원재료로 표시가 없는 제품이 대부분 이었다.

조리식품의 경우는 냉동식품 제조 관계자에 따르면 상품수가 많고 원산지 표시에 따라 모든 상품의 포장을 당장 변경할 수 없다고 전했다.

과실가공품은 건조과일과 과일통조림 등 가공도가 낮기 때문에 표시하기 쉬워 표시 비율이 3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콩류 조제품은 표시 비율이 50%로 가장 높았다. 이는 일본 정부가 두부와 낫토의 원재료인 대두 원산지 표시 가이드라인을 지난 2006년에 책정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식품표시 전문가에 따르면 대규모 식품회사 중 40% 정도가 표시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움직이고 있는 듯하나 전체적인 움직임은 둔한 상태라고 밝혔다. 중소 식품회사는 상품수가 적고 원재료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비교적 대응이 빠를 것으로 예상되나 주위 상황을 살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T 오사카지사 관계자는 "일본의 가공식품 원재료 원산지 표시제도는 일본에서 일반소비자용으로 제조 및 판매되는 가공식품이 대상이므로 한국기업 또는 한국산 식품을 수입하는 업체는 해당 제도의 직접적인 영향은 적을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 다만 일본 식품제조사와 식품의 원재료를 거래하는 경우와 한국 식재료의 수입업체가 일본에서 식재료를 가공해 일반 소비자에게 최종 상품으로 판매할 경우에는 해당 제도에 따라 표시해야 하므로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한국기업이 일본 식품제조사에 식품원재료를 판매할 경우, 일본 식품제조사는 중량 비율이 가장 높은 원재료의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돼 수출원인 한국기업에 식재료에 관한 생산이력의 증명을 요청하는 경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중간가공 원재료에 관해서는 제조‧가공지의 증명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