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북도, '삼락농정 시․군특화사업' 본격 시동

30억원 투자, 사업당 5억원 규모로 6~8개사업 선정 지원

[푸드투데이 = 이윤서 기자]   전라북도(도지사 송하진)는 농업인 참여형 농정거버넌스 체계를 시․군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올해 30억원 6~8개사업 규모로 '삼락농정 시․군특화사업'(이하, 삼락 특화사업)을 통해 '시․군과 함께하는 삼락농정'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3대 핵심시책인 '보람찾는 농민, 제값받는 농업, 사람찾는 농촌'의 삼락농정은 그간 2년 동안(’15~’16년) 농업인이 참여하는 삼락농정위원회를 운영, 운영협의회와 10개 분과가 연간 47~67회 위원회 활동을 통해 47개사업 143억원(국비 102, 도비 41) 사업을 발굴 반영했고 분야별 현안에 대한 논의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등 도단위 대표 농정거버넌스로 정착했다.

 
올해 특화사업은 기존 사업신청 방식과 달리 시․군 농정거버넌스에서 지역의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다양한 의견 수렴과 논의를 통해 사업을 결정하고 사업계획을 수립, 사업을 공모 신청하는 상향식 사업이다.


지원대상 사업은 삼락농정 취지와 부합되는 사업으로 농촌인력지원, 청년농업인 육성, 농촌체험․관광사업과 같이 지역주민 참여․공감형, 농업․농촌 공동체 활성화, 지역의 다수 농업인(주민)이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사업비 1개사업당 500백만원 이내로 6~8개 사업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며 지원대상은 시장․군수와 농업인이 50% 이상인 영농조합법인, 협동조합 등 마을공동체 등이며 개인, 개인사업자 등 특정인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삼락 특화사업은 시․군을 통해 오는 2. 10일까지 공모 신청을 받는다.

 
강승구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삼락농정의 핵심동력인 농업인 참여형 농정 거버넌스(도 : 삼락농정위원회)가 시․군으로 확산되고, 시군별 농업․농촌의 특성을 반영한 특화사업을 농정거버넌스에서 발굴하여 신청하는 상향식 사업을 통해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삼락농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