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과 오염 방지를 위해 서울지역에 지하수 보전지구 등이 지정된다. 서울시는 2005년까지 지하수 고갈이나 오염 등 우려가 있는 지역을 선정, 보전지구로 지정하고 지하수 개발 행위를 제한하는 내용의 '지하수 관리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보전지구는 지하수 수질 악화와 남용에 따라 생태계가 파괴될 위험이 큰 곳이 대상이며, 개발제한지구는 고갈 가능성이 크거나 지반 침하의 우려가 있어 개발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지정된다. 보전지구 등으로 지정되면 폐기물 처리시설과 축산시설, 지하 굴착공사, 지하 유류 저장고 등 지하수에 |
시는 이를 위해 오는 7월부터 2005년 말까지 8억원의 예산을 들여 안양천, 중랑천, 성내천 등 주요 하천 유역을 비롯한 시내 전역에 대해 지하수 개발 가능량과 수질, 오염원 등을 조사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전지구 및 개발제한지구를 지정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내에서 매년 1억여t 정도의 지하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생활용수로 배출되고 있다"며 "전체적으로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나 일부 하천 유역에서는 지하수 높이가 떨어져 지반이 약해지고 수질이 급속히 나빠지는 실정이어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을 막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