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저속노화 개념을 대중에 알린 정희원 전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가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이하 ‘유퀴즈’)에 출연한 이계호 충남대 명예교수의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정 교수는 지난 1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물, 저나트륨혈증, 하루 단백질 섭취량 관련해 신장내과 전문의 김세중 교수님과’라는 제목의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서울시 초대 건강총괄관으로 활동 중인 그는 정확한 건강 정보 전달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최근 방송에서 ‘체중 1kg당 단백질을 0.8g 이상 섭취하면 단백뇨로 배출된다’, ‘물을 적게 마시면 혈액이 끈적해져 암이 생긴다’, ‘물을 많이 마시면 소금 섭취가 줄어 급사할 수 있다’, ‘물·채소·저염식이 돌연사 위험을 높인다’는 주장이 있었다”며 지난 6일 ‘유퀴즈’에서 이계호 교수가 한 발언을 언급했다.
이 교수는 당시 방송에서 “하루 2L씩 물을 마시면 건강이 나빠진다”고 주장하며, 과도한 채소·과일 섭취와 극단적인 저염식이 저나트륨혈증을 유발하고 심장마비로 인한 돌연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정 교수는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에게 해당 내용의 의학적 타당성을 물었다. 김 교수는 “건강한 신장은 하루 최대 12L까지 수분을 처리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2~3L의 수분 섭취로 저나트륨혈증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며 “문제는 단시간에 과도하게 물을 마시거나, 마라톤 중 체중이 증가할 정도로 수분을 섭취하는 특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저나트륨혈증은 주로 신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뇌·폐질환, 수술 전후, 심한 통증, 노화 등 큰 신체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생한다”며 “말기 신부전이나 투석 환자처럼 하루 소변량이 극도로 적은 경우에만 섭취 제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앞서 10일 SNS를 통해 “방송에서 일부 발언이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거나 과장되어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불필요한 공포를 유발할 수 있다”며 반박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한편, 정희원 교수는 최근 서울아산병원 교수직에서 물러난 뒤 MBC 표준FM ‘정희원의 라디오 쉼표’ 진행과 서울시 건강총괄관 활동을 병행하며 대중 건강 소통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