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이 지난 상반기 동안 운영한 국민참관인 제도, 식품안전 열린 포럼, 민관 정보교류 협의회 등은 소비자의 의견이 식품정책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열린행정을 구현하고 식품 정책의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국민참관인 제도는 주부, 학생, 직장인 등 일반 국민이면 누구나 식품 정책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지난해 5월부터 식약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 국민 참여 행정 사례이다.
올 상반기까지 국민참관인단은 총 26차례에 걸쳐 주요 식품안전 정책 결정 과정인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식품안전 열린 포럼, 식품안전정책 설명회 등에 직접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또 식약청은 소비자, 학계, 관련업계, 언론이 함께하는 식품안전 열린 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식품유해 물질에 대한 정보교류 및 안전관리방안 등을 논의해 용유지 중 벤조피렌의 권장규격을 운영하고 굴의 노로바이러스 시험법을 고시하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일선 식품 사업장 종사자 및 지자체 공무원 등과는 지난해 7월부터 민관정보교류협의회를 발족하고 최신 식품안전 정보교류 채널을 구축하고 노로바이러스 관리, 식품공전 개선 방향 등 식품정책의 품질향상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식약청은 앞으로도 다양한 국민 참여 기회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하반기 제3기 국민참관인단 선정, 고객 방문 식품표시 교육 확대, 식품안전열린포럼 및 민관정보교류협의회를 활성화해 국민참여형 열린 식품행정을 구현하고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푸드투데이 백승환 기자
young11@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