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우영택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이 지나고 기온도 점차 떨어지고 있다. 추운 겨울이라고 하더라도 식중독 사고는 심심찮게 일어난다. 흔히 기온이 높고 습한 여름철에 식중독이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겨울철이 되면 유독 기승을 부리는 식중독도 있다. 바로 ‘노로바이러스’가 그 주범이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 간 230건, 환자는 4,817명 발생했다. 날씨가 추워지는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음식점을 비롯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 등에서 감염된 사례가 많았다. 이는 겨울철에도 식중독으로 자유로울 수 없고, 긴장의 끈을 늦춰선 안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기온이 내려간다고 해서 위생관리를 소홀히 한다면 오히려 대형 식중독 사고를 불러올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가 겨울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된 까닭은 무엇일까? 노로바이러스는 일반 세균과 달리 영하 20℃ 이하의 추운 날씨에도 오랫동안 생존하고, 10~100개 정도의 적은 입자량만으로도 감염된다.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 물 등을 섭취했을 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주로 발생하는데, 최근 5년간 겨울철 식중독 발생 통계에 따르면 어패류와 오염된 지하수에 의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가장 많았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했을 때에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발생한다. 추운 날씨로 손 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가 소홀해지기 쉽고, 실외보다 실내 활동이 많아 사람 간 접촉이 많아지면서 전파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1차 환자가 발생하고 나면 사람 간 접촉에 따른 전파가 쉽기 때문에 어린이집·유치원·학교 등 단체 생활을 하는 시설에서는 각별히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24~48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설사, 구토, 복통, 두통, 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화장실, 변기, 문손잡이 등을 가정용 염소 소독제를 40배 희석(염소농도 1,000ppm)해서 소독해야 한다. 환자의 구토물, 침, 오염된 손, 분변 등을 통해 감염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환자 구토물은 위생용 비닐장갑과 마스크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염물이 튀거나 옷에 묻지 않도록 주의해 청소한 후, 바닥은 반드시 염소소독을 해서 노로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철저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렇다면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수칙은 무엇일까?
 

첫째, 외출에서 돌아온 후, 화장실 사용 후, 식사하기 전, 조리하기 전에 반드시 비누 등을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둘째, 음식물을 가열·조리할 때는 내부까지 충분히 익히고, 굴 등 어패류는 중심온도 8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서 먹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되기 쉬운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서 마신다.
 

셋째, 가열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과일·채소류는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고, 재료 자르기 등 손질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한다.
 

넷째, 조리기구와 식기는 열탕 또는 기구 등 살균소독제로 소독하고, 조리대와 개수대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다섯째, 구토·설사 등 식중독 증상이 있는 사람은 즉시 음식물 조리 참여를 중단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 조리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구토, 설사 등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을 받고, 집단 설사 환자가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식중독은 사전 예방이 최선의 방책이다. 코로나19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이제 일상으로 회복하기 위한 발걸음을 조심스럽게 내딛고 있는 지금이다. 식중독 예방 수칙은 물론 생활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서, 바이러스와의 거리두기로 건강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