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농가수익 창출에 기여하는 노지감귤이 이상기온 현상으로 정상데로 자라지 못하고 생리낙과 현상에다 지난해 과다 착과 및 늦은 수확으로 올해산 생산량이 감소 될것으로 보여 비상이 걸렸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올해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이 지난해 70만톤보다 크게 떨어질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최우선 과제로 열매수 확보를 농가에 당부하고 있다.
도농기원에 따르면 2009년산 노지감귤 착과량이 78만8000여t을 보인 가운데 출하조절 등을 이유로 수확을 늦추면서 나무의 힘(수세)이 약해졌지만 지난 1~2월 저온현상과 일조량이 적어 새순·꽃이 늦게 나오는 등 생육이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꽃 발생량이 적은 대신 새순이 많이 나오면서 열매를 맺는 묵은잎이 떨어지고, 꽃과 새순이 서로 양분흡수를 위해 경쟁하면서 생리낙과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농기원은 이에 따라 5개 특별지도반을 편성, 1단계로 생리낙과가 끝나는 오는 6월말까지 우량한 꽃(열매) 확보를 위한 농가 관리를 지원키로 했다.
오는 5월 중순~6월 상순까지 요소 0.3%액에 황산마그네슘 0.3%액을 혼합, 물 비료를 뿌리는 한편 꽃을 덮고 있거나 햇빛 쪼임을 방해하는 가지 등을 솎아냄으로써 나무의 양분 감소를 줄이도록 지도하고 있다.
도농기원은 또 더뎅이병과 감귤 꽃 혹파리 등 병해충 예찰과 방제작업을 철저히 해줄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
푸드투데이 서정용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