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산딸기 1종이 제주에서 발견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는 최근 서귀포시 남원읍의 해안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장미과의 산딸기속에 속하는 국내 미기록종 산딸기를 발견, '제주산딸기'로 국명을 부여한 뒤 학계에 보고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산딸기는 1918년 일본의 태평양 연안에 있는 치치지마섬에서 처음 발견돼 루부스 니시무라누스(Rubus nishimuranus Koidz.)라는 학명으로 학계에 보고됐으며, 그 이후 이즈지방과 오가사와라제도 등 일부 지역에서도 추가로 발견됐으나 자생지와 개체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종은 아직 일본 외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어 일본 고유의 종으로 알려져 왔다.
제주산딸기는 우리나라 남부 해안지방에 분포하는 장딸기, 거문딸기 등과 형태가 매우 유사하지만, 잎이 세 갈래로 깊게 갈라진 손바닥 모양이라는 점에서 장딸기와 다르고, 잎과 줄기에 털이 많은 점에서 거문딸기와 다르다.
다만, 잎의 모양, 열매의 형태, 잎과 줄기에 털의 존재 여부 등 여러 면에서 장딸기와 거문딸기의 중간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어 일부 학자들은 이들 종의 잡종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찬수 박사는 "이 종은 산딸기에 속하는 종들의 진화연구와 같은 학술적 측면에서 유용한 재료가 될 것"이라며 "자원화 가능성 탐색과 같은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푸드투데이 서정용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