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감귤 생산이 농가 자율에 맡겨 지지않고 정치작물 로 둔갑돼 막대한 예산 지원과 공무원들의 일손이 동원되는 등 감귤정책이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제주도가 분석한 2001년 이후 8년간 감귤생산량을 보면 지난 2001년 60만톤, 2002년 73만9000톤, 2003년 59만7000톤, 2004년 53만7000톤, 2005년 60만1000톤, 2006년 56만9000톤, 2007년 67만7000톤, 그리고 지난해 52만톤이고 올해 67만5000톤을 예상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2007년 과잉생산이 우려되자 마지막으로 감귤의 과잉생산 여부를 떠나 농가 자율에 맡긴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매해 흔들리고 있다.
제주도는 2007년에 이어 올해도 과잉생산이 우려되자 100억여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자하면서 전 행정력을 동원해 1/2간벌과 안정생산 직불제 그리고 열매솎기에 올인한 실정이다.
또, 감귤폐원 사업에도 천억원 이상의 예산을 농가에 지원 했지만 일부 농가들이 다시 감귤을 재배 하고 있어 적정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제주자치도는 29일 부터 감귤유통명령제 발령을 내세워 비상품 감귤 단속에 행정시(읍면동), 지역농협, 민간인으로 구성된 도내 단속반 33개반 198명과 도, 농업기술원, 농협지역본부, 감협, 감귤출하연합회 합동 도외 단속반 10개반 25명, 자치경찰 5개반 19명, 소방본부 28개반 148명 등 이미 편성되어 활동중인 76개반 390명의 단속반과 함께 전국 도매시장에 39개반 50명, 도내 야간기동단속반 2개반 24명을 추가로 배치하는 등 총 117개반 464명의 단속반을 이행점검반으로 구성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강력한 단속을 펼치게 된다.
또,행정기관, 농협, 상인조합 등 신고센타 137개소를 운영하고 도, 행정시, 농감협에 종합대책상황실을 설치하여 유통명령기간중 무휴체제로 운영을 강화 하는 등 감귤이 정치 작물로 이용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표심잡기라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일부 감귤 농가들은 감귤가격으로 표심이 왔다갔다하는 시대는 이미 지난지 오래다"며 "언제까지 고급 행정인력을 1/2간벌이나 열매솎기에 동원시키는 행정 낭비는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감귤 농가들이 자율적으로 감귤 품질 개선과 유통 조절, 불량감귤 퇴치 운동을 전개하는 정책이 요구 된다고 주장했다.
푸드투데이 서정용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