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내 사회단체, 학부모단체에서 주장하고 있는 '학교급식지원센터'는 학교급식용 식자재 유통과정을 자치단체에서 맡음으로써 생산자가 소비자(학교)로 직거래 연결하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산자는 우리 농산물의 판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서 좋고, 소비자(학교)는 보다 싼 가격으로 질 좋은 식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을 부각 시키고 있다.
현재 학교급식 식재료는 일선 학교장에게 권한과 더불어 모든 책임까지 고스란히 떠 맡겨져 있다는 것이 문제다. 식재료 납품업체 선정에서 식재료 검수, 배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학교장 책임하에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경남도내 일선학교 경우 대부분 1~2달 간격으로 공개입찰을 실시, 참가업체 가운데 유류 값.인건비 인상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최저가를 써 낸 업체를 우선순위 식재료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또 이처럼 입찰 주기가 짧다 보니 일선 학교나 납품업체 모두 입찰 후 곧바로 재입찰을 준비해야 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어 행정 낭비라는 볼멘소리가 높다.
일선 학교도 이에 따른 서류준비로 업무량이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보니 개선이 필요하다 는 주장이다.
따라서 그동안 학교급식에서 생산자와 소비자(학교) 사이에 존재했던 유통과정만 따로 떼 내어 그것을 정부나 자치단체가 따로 관리·운영하게 하자는 것이 학교급식지원센터의 설립 목적의 취지라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지원센터가 물류기능·식자재 검수기능·식단 연구와 개발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됨으로 학교급식에 매달려 있는 학교 측의 부담도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학교와 납품업체 간의 유착 의혹이나 식재료의 품질저하 의혹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 예로 거창군의 경우,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학교급식 관련, 조례를 제정한 뒤 군내 수십 개 초·중학교가 공동식단을 짜서 식재료를 공동 구매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급식체계를 가동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를 통해 일선학교는 자연스레 현지 생산농가와 직접 계약을 할 수 있는 장점과 계약재배를 통해 믿을만한 우리 농산물을 급식재료로 공급받을 수 있게 돼 지원센터 설립의 성공 모델 케이스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계가 있기는 마련. 이는 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농산물의 양이 한정돼 있기 때문인데, 이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 나가는 것이 숙제다.
앞으로 20개 시·군에 일괄 지원센터가 설립되고, 더 나아가 경남도나 도교육청에서 이를 총괄하는 지원센터가 세워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문제를 풀어 나갈 수 있는 대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래서 각 지역의 친환경 농산물로 부족한 부분을 메워주는 등 서로 상부상조가 가능해질 때 시·군 지원센터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다는 것이 급식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푸드투데이 석우동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