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프랜차이즈 업계의 상징이었던 더본코리아가 흔들리고 있다. 매출 급감, 광고 논란, 가맹점주 집단소송 움직임 등 전방위 리스크가 동시에 터져나오면서 한때 '백종원 브랜드'로 불리며 승승장구하던 외식 제국은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다.
더본코리아는 지난 2일 가맹점주들과의 상생을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총 50억 원 규모로, 전 브랜드 가맹점을 대상으로 ▲3개월간 로열티 전면 면제 ▲5월 한 달간 본사 전액 부담 프로모션 ▲핵심 식자재 특별 할인 등을 골자로 한다. 백종원 대표는 "직접 전국을 돌며 점주들의 목소리를 듣겠다"며 권역별 간담회 계획도 밝혔다.
그러나 현장의 분위기는 냉담하다. 유튜브 채널 '아라보쟈'에 게재된 한 영상에서 가맹점주는 "매출이 절반으로 줄었고, 권리금을 포기해도 점포를 넘기기 어렵다. 양도양수 업체조차 백종원 브랜드는 피한다"며 절망감을 드러냈다. 해당 영상은 수많은 동종업계 점주들의 공감을 얻으며 논란이 확산됐다.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의 본질을 구조적인 '오너 리스크'로 본다. 실제 더본코리아는 최근 몇 달 사이 잇단 논란에 휩싸였다.
빽햄.고구마빵.덮죽 등 연이은 논란…브랜드 신뢰도 타격
더본코리아는 올 들어 줄곧 품질과 표시기준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 1월 설 명절을 앞두고 '빽햄' 제품의 돼지고기 함량 및 가격, 감귤 맥주 제품 성분 함량 논란이 불거진 데 이어, 빽다방 고구마빵 광고 문구가 농산물 원산지를 오인하게 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어 4월 1일 강남구청이 '덮죽' 광고 문구에 대해 고발장을 접수하면서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경찰 수사가 시작됐다. 해당 광고에는 '국내산 다시마, 새우, 멸치를 사용', '통통한 자연산 새우' 등의 문구가 사용됐으나 실제 원료는 베트남산 양식 새우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지역 축제 현장에서는 더본코리아 측이 산업용 조리기구를 식품용처럼 활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또 다른 고발이 접수됐다. 해당 건은 현재 서초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마친 뒤,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강남경찰서로 이첩될 예정이다.
이처럼 크고 작은 고소·고발이 동시다발적으로 이어지면서 더본코리아는 브랜드 이미지뿐 아니라 법적·경영적 불확실성까지 짊어진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일부 가맹점주들, 집단소송 움직임…계약조항이 부메랑으로
더본코리아 일부 가맹점주들은 법적 대응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세계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가맹계약서에 명시된 '오너 위법행위 시 손해배상' 조항을 근거로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가맹계약 제32조 1항에는 "본사 또는 임원의 위법행위로 가맹사업의 명성이나 신용이 훼손돼 손해가 발생한 경우, 본사가 배상 책임을 진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실제로 일부 점주들은 백 대표와 임원진의 연이은 논란으로 매출이 급감했고, 이로 인해 수억 원대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본코리아는 현재 25개 브랜드를 운영 중이지만,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16개 브랜드의 가맹점 수가 줄어들었다. '고속우동', '백철판0410' 등 일부 브랜드는 전국 매장이 0곳이며, '낙원곱창' 등도 직영 1곳만 남아 있는 상황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비용 문제를 넘어 브랜드 신뢰 자체가 흔들린 구조적 위기라고 분석한다. 한 외식산업 관계자는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외면받으면 가맹점의 매출 감소는 시간문제”라며 “법적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신규 창업 수요까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더본코리아의 이번 상생안은 이미 금이 간 브랜드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단기적 비용 완화만으로는 점주들의 불신을 잠재우기 어렵고, 소비자 신뢰 회복 없이는 매출 반등도 쉽지 않다는 게 외식업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