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우리나라 어린이(만 3세~18세)의 프탈레이트류와 비스페놀A의 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국제 인체안전기준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2일 밝혔다.
식약청은 프탈레이트류 및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공업용이나 생활용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돼 일상생활을 통해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로, 취약계층인 어린이에 대한 실제 노출량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식약청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 만 3~18세 어린이 1030명의 소변을 수집해 프탈레이트류(DEHP, DBP, BBP) 및 비스페놀 A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일일평균노출량을 산출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만 3~18세 어린이의 소변 중 프탈레이트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산출된 평균 일일노출량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2.75㎍/㎏/day, 디부틸프탈레이트(DBP) 1.22㎍/㎏/day 및 벤질부틸프탈레이드(BBP) 0.61㎍/㎏/day로 나타났다.
이는 유럽식품안전청(EFSA)에서 제시한 인체안전기준치(TDI)에 비해 DEHP, DBP 및 BBP는 각각 5.5%, 12.2% 및 0.1%로 노출 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연령대별로는 만 3~6세 유아의 프탈레이트 노출량이 초·중·고생 등 다른 연령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장난감 등 프탈레이트 함유 제품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식약청이 2010년 평가한 우리나라 성인 만 19세~69세의 프탈레이트류 평균 일일노출량에 비해 어린이 노출량은 절반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어린이 만 3~18세의 소변 중 비스페놀 A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해 평균 일일노출량은 0.022㎍/㎏/day로 추정 산출돼 인체안전기준치(TDI) 대비 0.04% 수준으로 매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스페놀 A 역시 프탈레이트류와 마찬가지로 다른 연령에 비해 3~6세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식약청이 2010년 평가한 우리나라 성인(만 19~69세)의 비스페놀 A 평균 일일노출량에 비해 어린이 노출량은 6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은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프탈레이트류 및 비스페놀 A 노출 수준은 안전하므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노출량을 더욱 줄이기 위해서는 손씻기를 잘하고 내부 흠집이 난 플라스틱 컵(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나 PVC 재질의 장난감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