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변하는 제약산업 환경의 변화로 국내 제약사 열곳중 세곳이 인수합병(M&A)나 사업전환 등으로 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5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제약산업의 구조선진화를 통한 산업발전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올해부터 제약산업의 재편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정부의 약제비 적정화 방안과 GMP(우수의약품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선진화 추진, 영업환경 변화 등으로 영세 제약사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급속한 산업재편을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제약사들은 GMP 선진화를 위해 매출액 대비 연평균 4.6%를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영업이익률 5% 미만인 제약사를 중심으로 경쟁력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2008년 현재 전체 218개 완제의약품 제조사 가운데 영업이익률 5% 미만인 제약사는 69곳(32%)이다.
또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시장형 실거래가제 도입 등 제약산업의 투명성 강화 조치에 따라 생산액 500억원 이하의 제약사 가운데 혈압강하제, 해열진통소염제 등 상위 20개 약효군에 전체 제품의 50% 이상을 집중하고 있는 54개사의 경쟁력 약화가 예측됐다. 이들은 차별화 전략 없이 제약업에 뛰어든 중소제약사들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경쟁력이 약화되는 78개사(중복 고려.35.8%)가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화장품 등으로 사업분야를 전환하거나 다른 제약사에 인수합병되는 등 시장에서 퇴출되면서 완제 의약품 제조사가 140곳으로 축소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산업재편으로 모두 8560억원의 제약 생산액이 이동하게 된다. 생산액 2000억원 이상의 제약사들은 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9.7%(평균 생산액 3753억원)에서 56.8%(평균생산액 4288억원)로 확대된다.
실제로 보건산업진흥원이 30개 제약사를 대상으로 경영전략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절반 정도인 14개 제약사가 M&A를 고려하고 있으며 2개 제약사(7.1%)는 이미 M&A를 추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대규모 산업재편이 예상됨에 따라 퇴출 대상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도산절차를 마련하고 초대형 구조조정 조합결성을 통한 기업 구조선진화 자금을 조성하며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투자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GMP 기준 선진화로 국내 제약사의 시설투자로 의약품 품질 경쟁력이 향상되면서 의약품 수출규모가 2007년 10억5000만달러에서 2018년 53억4000만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다.
푸드투데이 -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