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교통수단 선택 유도…농어촌 기초환경시설 확대 마련해야
주5일 근무제가 환경보호에 부정적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25일 주5일 근무제 도입과 관련해 대기, 소음, 폐기물, 수자원, 자연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주5일 근무제와 여가활동변화에 따른 환경영향'연구보고서에서 이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시행으로 향후 5년간 추가 발생되는 1인당 통행량 추가 증가량은 86억㎞로 통행량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과 온실효과 등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이를 환경비용으로 환산하면 교통환경비용이 1천895억원 수준이다.
또한 관광객이 향후 5년간 5천232만6천명 추가 증가해 폐기물은 3천437만8천t 가량 더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처리비용 역시 110억원이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관광, 여가를 위해 농어촌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향후 5년간 62억7천900만L의 추가 수자원 발생분이 생길 것으로 관측했다.
이에 1일정수 용량 500t 이하의 하수종말처리장 90여개의 추가건설이 필요하고 1천863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대기와 폐기물, 수자원 부분의 환경비용을 합쳐 3천868억원 이른다고 예상했다.
한편 긍정적인 면 또한 적지 않다고 이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특히 봉사활동 등 국민의 사회활동 참여 확대는 환경에 대한 의식화 및 환경보전 이벤트를 활성화, 7, 8월로 집중된 휴가문화를 분산효과 등 적지 않은 장점도 가지고 있다는 것.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주5일 근무제로 인해 파생되는 이러한 문제들을 위해 정부가 철도 이용 권장하고 저공해 차량 개발·보급 등에 앞장서 교통수단의 합리적 선택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정책적 제언과 함께 농어촌의 기초환경시설 확대도 역점사업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푸드투데이 박상준 기자
pass@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