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 '30년만의 가뭄'전제 누락 18억t 부족 발표
환경단체 '댐건설 위한 호도'반발 거세
2006년이면 물부족 현상을 겪을 것이라는 건설교통부의 전망을 놓고 환경단체와 정부부처 간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 환경부 등은 세계 물의 날인 지난 22일 "2006년쯤 물 부족을 현상을 보이고 2011년까지 18억여톤의 물이 부족할 것"을 핵심으로 하는 자료집을 발간, 이를 근거로 27댐을 추가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수량 집계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어 향후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보고서가 평균 용수 수급량을 생각하지 않고 '30년만의 가뭄'을 전제로 작성돼 평균적 수급상황과는 차이가 너무 크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10년만의 가뭄'을 대비해 건설됐다는 이유로 1998년 농업기반공사 조사에서 연간 47억톤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 1만 7천여개소의 공급 수량 16억톤만 집계에 포함했다.
또한 농림부가 2014년까지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1천600여개소의 저수지를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30년만의 가뭄'에 비효율성을 들어 제외시켰다.
이에 농림부 관계자는 "농업용 저수지들이 '30년만의 가뭄'에 취약하다는 뜻이지 공급능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한편 건교부는 세계 물의 날을 맞아 내놓은 홍보자료 '물과 미래'에서 '30년만의 가뭄'을 전제로 한 사실을 누락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물 절약이 중요하지만 정부가 당장 물이 없어 댐을 건설해야 하는 것처럼 호도해서는 안 된다"며 "숫자로 나타난 수량이 문제가 아니라 환경훼손 등을 고려한 종합적 물 부족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푸드투데이 박상준 기자
pass@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